멕아이씨에스(058110) 7,300원(+12.14%) 자회사 멕헬스케어, 400만달러 규모 해외 투자유치 완료 소식 속 급등
증시요약 & 마감시황. 7/26 KOSPI 2,412.96(+0.39%) 기관·외국인 순매수(+), FOMC 등 대형이벤트를 앞둔 관망세
지난밤 뉴욕증시가 FOMC 및 주요기업 실적 관망세, 경기 침체 우려 지속 등에 혼조 마감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등락이 엇갈림. 이날 코스피지수는 2,397.27(-6.42P, -0.27%)로 소폭 하락 출발. 장 초반 2,395.17(-8.52P, -0.35%)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낙폭을 줄였고, 보합권에서 혼조세를 보였음. 이내 상승폭을 키웠고, 오전중 2,415.39(+11.70P, +0.49%)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오후 들어 2,404선까지 상승폭을 줄이기도 했으나 장 후반 상승폭을 다소 키운 끝에 2,412.96(+9.27P, +0.39%)에서 거래를 마감.
중국, 홍콩이 상승했고, 일본, 대만이 하락하는 등 아시아 주요국 지수는 등락이 엇갈림.
수급별로는 기관과 외국인이 각각 459억, 15억 순매수, 개인은 475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3,610계약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3,134계약, 388계약 순매도.
업종별로는 대부분 상승. 건설(+1.43%), 섬유/의복(+1.32%), 통신(+1.03%), 종이/목재(+0.88%), 화학(+0.88%), 기계(+0.84%), 비금속광물(+0.82%), 전기/전자(+0.76%), 음식료(+0.73%), 제조(+0.62%), 유통(+0.46%), 철강/금속(+0.45%), 의약품(+0.26%) 등이 상승. 반면, 서비스(-0.51%), 금융(-0.28%), 보험(-0.25%)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412.96P(+9.27P/+0.39%)
7/26 KOSDAQ 789.93(+0.03%) 개인 순매수(+), FOMC 등 대형이벤트를 앞둔 관망세
수급별로는 개인이 692억 순매수,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537억, 103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이 우세. 에코프로(-3.24%), CJ ENM(-2.36%), JYP Ent.(-1.93%), 펄어비스(-1.89%), 에스엠(-1.79%), 스튜디오드래곤(-1.18%), 씨젠(-1.07%), 천보(-0.90%), 에코프로비엠(-0.68%) 등이 하락. 반면, 솔브레인(+4.22%), 알테오젠(+2.43%), 카카오게임즈(+2.23%), 엘앤에프(+2.03%), 동진쎄미켐(+0.85%), 셀트리온제약(+0.37%)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등락이 엇갈림. 건설(+2.20%), 컴퓨터서비스(+0.98%), IT부품(+0.86%), 비금속(+0.78%), IT H/W(+0.55%), 종이/목재(+0.51%), 기계/장비(+0.44%), 반도체(+0.41%), 금속(+0.39%), 정보기기(+0.33%) 등이 상승. 반면, 오락문화(-2.03%), 방송서비스(-1.48%), 출판/매체 복제(-1.20%), 통신방송서비스(-1.19%), 섬유/의류(-0.73%), 일반전기전자(-0.67%), 소프트웨어(-0.64%), 통신서비스(-0.49%)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789.93P(+0.24P/+0.03%)
특징 테마. ▷국제펄프가격 1,000달러 돌파 소식에 제지 테마 상승.
▷한수원, 이집트 엘다바 원전 계약 체결 임박 소식 및 원자력안전기술원, 사우디 연구용원자로 기술지원 사업 계약 체결 소식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中 2위 사료업체 공급 중단에 따른 사료 수급 차질 우려 및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 불확실성 부각 등에 사료, 비료, 농업 테마 등 하락.
▷유럽 천연가스 가격 급등, 국제유가 상승 속 도시가스, LNG, 셰일가스, 정유, LPG 테마 상승.
▷서울시 '용산정비창' 국제업무지구 개발 본격화 소식 속 건설 대표주, 건설 중소형 테마 상승.
▷안정적, 구조적 성장 기대감 등에 폐기물처리 테마 상승.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9만명 돌파 소식 속 일부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바이든 美 대통령-최태원 SK그룹 회장 면담 예정 소식 속 일부 2차전지, 일부 반도체 테마 상승.
▷ 이 외 백신여권, 스마트카, 바이오인식(생체인식), 전력저장장치(ESS), 조림사업, 4대강 복원, 리모델링/인테리어, 핵융합에너지, 주류업, SI(시스템통합), 조선기자재, 통신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美 빅테크 실적 경계감 속 美 대형 기술주들이 하락한 가운데, NAVER, 카카오 등 인터넷 대표주 하락. 엔터테인먼트, 메타버스, 게임, 모바일게임, NFT 등 성장 테마도 하락.
▷넷플릭스 수익성 악화 우려 및 주가 하락 속 영상콘텐츠 테마 하락.
▷알츠하이머 발병 원인 관련 논문 조작 의혹 소식에 일부 치매 테마 하락.
▷이 외 영화, 음원/음반, 원숭이두창, 코로나19(혈장치료/혈장치료제), 웹툰, 밥솥, 쿠팡 관련주, 야놀자 관련주, 유전자 치료제/분석, 모바일콘텐츠, 제습기, 교육/온라인 교육, 골프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