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 09. 21.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주식, 경제 2022. 9. 21. 17:33728x90
상한가 및 급등종목
2022. 09. 21.
화천기계(010660)
6,820원(+29.90%) 경영권 분쟁 지속 부각에 상한가
YTN(040300)
7,560원(+29.90%) 미디어(방송/신문) 테마 상승, 한전KDN, 동사 지분 매각 논의 속 민영화 기대감 지속 등에 상한가
IBKS제12호스팩(335870)
16,900원(+30.00%) 일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테마 상승, 윙스풋과 합병승인 모멘텀 지속 등에 상한가
iMBC(052220)
4,230원(+29.95%) YTN 민영화설 지속 부각에 미디어(방송/신문) 테마 상승 속 상한가
삼보모터스(053700)
6,370원(+29.87%) 테슬라, 완전자율주행(FSD) 소프트웨어 확대 제공 소식 등에 일부 자율주행차 테마 상승 속 상한가
하나금융20호스팩(400560)
3,045원(+29.85%) 일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테마 상승, 2차전지 기업과의 합병 기대감에 상한가
WI(073570)
1,480원(+29.82%) 350억원 규모 CB 발행 및 9.99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속 상한가
유안타제7호스팩(367460)
3,500원(+24.56%) 일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테마 상승 속 급등
아세아텍(050860)
3,420원(+22.14%) 하반기 사료가격 인상 기대감 및 우크라이나 재건 수혜 기대감 등에 일부 농업 테마 상승 속 급등
이엔플러스(074610)
4,095원(+18.01%) 2차전지 소재 제조 관련 특허권 취득에 급등
모바일어플라이언스(087260)
4,135원(+17.81%) 테슬라, 완전자율주행(FSD) 소프트웨어 확대 제공 소식 등에 일부 자율주행차 테마 상승 속 급등
하나금융15호스팩(341160)
3,430원(+17.67%) 일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테마 상승 속 급등
한국경제TV(039340)
8,550원(+16.96%) 미디어(방송/신문) 테마 상승, 한전KDN, YTN 지분 매각 논의 및 동사 최대주주, YTN 지분 추가 매입 모멘텀 지속에 급등
디지틀조선(033130)
2,460원(+15.22%) YTN 민영화설 지속 부각에 미디어(방송/신문) 테마 상승 속 급등
하나기술(299030)
78,000원(+13.21%) 2차전지 해외 수주 본격화에 따른 실적 성장 기대감 등에 급등
대동기어(008830)
8,300원(+11.56%) 하반기 사료가격 인상 기 대감 및 우크라이나 재건 수혜 기대감 등에 일부 농업 테마 상승 속 급등
아시아경제(127710)
2,070원(+11.29%) YTN 민영화설 지속 부각에 미디어(방송/신문) 테마 상승 속 급등
데브시스터즈(194480)
44,900원(+11.28%) '쿠키런: 킹덤', BTS 캐릭터 게임 출시예고 소식 속 급등
글로본(019660)
2,710원(+10.39%) 실외 마스크 의무 완전 해제 기대감 속 일부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
증시요약 & 마감시황.9/21 KOSPI 2,347.21(-0.87%) FOMC 경계감 및 美 증시 하락(-), 무역수지 적자(-),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지난밤 뉴욕증시가 FOMC 결과 발표를 앞두고 긴축 우려 지속 등에 하락, 유럽 주요국 증시도 하락. 이날 코스피지수는 2,351.54(-16.31P, -0.69%)로 하락 출발. 장 초반 2,360.27(-7.58P, -0.32%)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낙폭을 확대. 2,345선 부근에서 부진한 흐름을 보이다 오후 들어 2,341.79(-26.06P, -1.10%)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 장 막판 낙폭을 다소 만회한 끝에 결국 2,347.21(-20.64P, -0.87%)에서 거래를 마감.
FOMC 결과 발표를 하루 앞두고 경계감이 짙어진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도하면서 코스피지수는 반등 하루만에 재차 하락 마감. 9월1~20일 수출이 8.7% 감소하면서 무역적자가 41억달러를 기록했다는 소식도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 외국인은 코스피시장에서 6거래일 연속 순매도를 기록.
장 마감 무렵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軍 동원령을 전격 발령하고 러시아 보호를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하겠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美 주요 지수선물이 낙폭을 키우는 모습.
일본, 중국, 홍콩, 대만 등 아시아 주요국 지수도 동반 하락.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751억, 673억 순매도, 개인은 3,288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2,059계약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1,053계약, 504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 셀트리온(-3.70%), 삼성SDI(-2.37%), KB금융(-2.30%), NAVER(-2.29%), 카카오(-1.99%), LG전자(-1.90%), 삼성바이오로직스(-1.75%), 현대모비스(-1.62%), 신한지주(-1.09%), 삼성전자(-0.90%), SK(-0.89%) 등이 하락. 반면, 포스코케미칼(+0.28%) 등은 상승.
업종별로도 대부분 하락. 의약품(-2.47%), 건설(-1.39%), 서비스(-1.38%), 의료정밀(-1.17%), 금융(-1.02%), 종이/목재(-1.01%), 증권(-0.99%), 전기/전자(-0.96%), 섬유/의복(-0.95%), 제조(-0.90%), 보험(-0.68%) 등이 하락. 반면, 운수창고(+1.04%), 전기가스(+0.68%), 통신(+0.28%), 음식료(+0.23%)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PI 2,347.21P(-20.64P/-0.87%)9/21 KOSDAQ 754.89(-0.72%) FOMC 경계감 및 美 증시 하락(-), 무역수지 적자(-), 외국인 순매도(-)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749억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700억, 108억 순매수.
업종별로는 대부분 하락. 출판/매체복제(-3.85%), 금속(-2.54%), 유통(-2.05%), 제약(-1.72%), 건설(-1.52%), 반도체(-1.44%), 섬유/의류(-1.30%), IT H/W(-1.00%), 기타서비스(-0.89%), 제조(-0.75%), 기계/장비(-0.70%), IT부품(-0.68%) 등이 하락. 반면, 방송서비스(+3.69%), 통신방송서비스(+2.45%), 기타제조(+1.77%), 운송(+0.62%), 일반전기전자(+0.61%), 금융(+0.54%)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754.89P(-5.46P/-0.72%)
특징 테마.
▷LNG선 운임 급등 소식 등에 조선, 조선기자재, 해운 테마 상승.
▷하반기 사료가격 인상 기대감 및 美 곡물 작황 부진 소식 등에 사료, 농업 테마 상승. 아울러 우크라이나 경제부 장관의 재건 관련 농공단지 발언도 긍정적으로 작용.
▷테슬라, 완전자율주행(FSD) 소프트웨어 확대 제공 소식 등에 자율주행차 테마 상승.
▷실외 마스크 의무 완전 해제 기대감 속 일부 화장품 테마 상승.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네옴시티 수주 위한 적극적인 외교 소식에 일부 네옴시티 관련주 상승.
▷YTN 민영화설 지속 부각 속 미디어(방송/신문) 테마 상승.
▷이 외 캐릭터상품, 도시가스, 애플페이, 백화점, 모바일콘텐츠, 면세점, 폐배터리 관련주, 셰일가스, LNG, 손해보험, 그래핀, LPG, 교육/온라인 교육, 광고, 수산, 통신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약세 등에 반도체 관련주 하락.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감소세 지속 및 방역 완화 조치 검토 소식 등에 코로나19 관련주 하락.
▷美 FOMC를 앞두고 기준금리 인상 부담 속 성장주 가치 할인 우려 등에 인터넷 대표주, 제약/바이오 관련주 하락.
▷이 외 태풍 및 장마, 국내 상장 중국기업, 남-북-러 가스관사업, 아이폰, 사물인터넷, 해저터널, 비철금속, 건설 대표주, 건설 중소형, 마이크로 LED, 전기차(충전소/충전기), 폴더블폰, 제지, 통신장비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국내 환율
내일의 이슈&테마
09월 22일 목요일
1. 美) 페덱스(FedEx) 실적발표(현지시간)
2. 尹 대통령, 캐나다 방문 예정
3. 미ㆍ일 정상회담 예정(현지시간)
4.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 개최 예정
5.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 개최
6. 금융안정상황보고서 공개 예정
7. KB스팩22호 신규상장 예정
8. 매직마이크로 [ 3 하향 (-62.50%) ] 토론공시 상장폐지
9. 선바이오 공모청약
10. 제이스코홀딩스 [ 1,795 하향 (-0.55%) ] 토론공시 추가상장(유상증자)
11.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 4,075 상향 (+0.87%) ] 토론공시 추가상장(유상증자)
12. 바른전자 [ 5,080 상향 (+2.42%) ] 토론공시 추가상장(유상증자)
13. 엔케이맥스 [ 13,800 하향 (-5.15%) ] 토론공시 추가상장(CB전환)
14. 다스코 [ 5,830 상향 (+0.17%) ] 토론공시 추가상장(CB전환)
15. 한창 [ 1,090 하향 (-0.46%) ] 토론공시 추가상장(CB전환)
16. 시스웍 [ 889 변화없음 (0.00%) ] 토론공시 추가상장(BW행사)
17. 대성하이텍 [ 11,950 하향 (-1.24%) ] 토론공시 보호예수 해제
18. 美) 8월 경기선행지수(현지시간)
19. 美) 9월 캔자스 연준 제조업지수(현지시간)
20. 美)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현지시간)
21. 유로존) ECB/유럽시스템리스크위원회(ESRB) 일반위원회 회의(현지시간)
22. 유로존) 유럽중앙은행(ECB) 경제보고서(현지시간)
23. 영국) 영란은행(BOE) 기준금리결정(현지시간)
24. 日) 일본은행(BOJ) 금융정책회의 2일차
25. 대만) 중앙은행 기준금리결정
본문 내용중 저작권등의 문제가 발생할 시에는 알려주시면 해당부분은 삭제 하도록 하겠습니다.
인포스탁 홈페이지(www.infostock.co.kr)의 자료를 참고 하였습니다.
#상한가 #코스닥 #코스피 #이슈 #주식 #주식시황 #증권 #급등종목 #환율728x90'주식,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09. 23.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1) 2022.09.23 2022. 09. 22.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1) 2022.09.22 2022. 09. 20.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2) 2022.09.20 2022. 09. 19.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1) 2022.09.19 2022. 09. 15.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2) 2022.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