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 10. 18.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주식, 경제 2022. 10. 18. 17:39728x90
상한가 및 급등종목
2022. 10. 18.
인디에프(014990)
907원(+29.94%) 최대주주 글로벌세아, 쌍용건설 인수 계약 체결 소식 속 상한가
톱텍(108230)
7,390원(+29.88%) SK 온-포드 14조원 규모 美배터리 프로젝트 참여 기대감 등에 상한가
이미지스(115610)
2,435원(+29.87%) 해외 업체와 자동차용 반도체 부품 공급 계약 체결에 상한가
비스토스(419540)
3,870원(+29.87%) 스팩소멸 상장 첫날 상한가
휴마시스(205470)
22,350원(+24.51%) 소액주주 지분 취득 전자공시 속 경영권 분쟁이슈 지속 등에 급등
지아이텍(382480)
4,135원(+24.36%)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2차전지용 내마모성/내구성 향상 복합소재 개발 및 거래처 검증 완료 사실 부각 등에 급등
레몬(294140)
4,435원(+20.19%)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최대주주 톱텍, SK온-포드 14조원 규모 美배터리 프로젝트 참여 기대감 등에 급등
하인크코리아(373200)
6,460원(+17.88%) 비엔티인터내셔널 흡수합병 결정에 급등
앱클론(174900)
17,650원(+16.89%) CAR-T 치료제 AT101, 혈액암 1상 완전 관해 및 킴리아 불응환자에 사용 가능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위메이드(112040)
50,300원(+16.71%) 게임/모바일게임 테마 상승 및 위믹스3.0 공개를 앞두고 위메이드 그룹주 상승 속 급등
지니너스(389030)
2,605원(+15.01%) 랩지노믹스 와 클리아랩 기반 암 유 전체 분석 솔루션 美 시장 진출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모멘텀 지속에 급등
아주IB투자(027360)
2,495원(+14.45%) 지아이이노베이션 면역항암제 美 FDA 희귀 의약품 지정 소식 속 지분 보유 사실 부각에 급등
백광산업(001340)
4,630원(+13.34%) 포스코케미칼, 美 포드에 수십조원 규모 양극재 공급 추진 소식 속 양극재 필수소재인 가성소다 생산업체로 부각되며 급등
콤텍시스템(031820)
776원(+13.28%) 재난 대비 항목 주요 데이터 보호 의무화 법안 재추진 속 데이터 보호 솔루션 제품 판매 사실 부각에 급등
프로스테믹스(203690)
1,300원(+13.04%) 씨케이엑소젠과 엑소좀 첨단 기술개발 연구소 출범 모멘텀 지속 등에 급등
무림SP(001810)
2,700원(+12.73%) 내달 편의점 등 종합소매업장 일회용 비닐봉지 사용 금지 속 비닐 포장재 대체재 생산 사실 부각에 무림 그룹주 상승 속 급등
대모(317850)
10,800원(+12.62%) 우크라이나-러시아 포로 교환 및 우크라이나 재건 기대감 등에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성우하이텍(015750)
5,710원(+11.31%) 전기차용 배터리 보호 복합소재 개발 성공 지속 부각 등에 급등
줌인터넷(239340)
3,495원(+10.60%) SK C&C 데이터센터 화재에 따른 주말간 카카오 서비스 중단 사태 속 관련주로 지속 부각되며 급등
위메이드맥스(101730)
18,500원(+10.45%) 게임/모바일게임 테마 상승 및 위믹스3.0 공개를 앞두고 위메이드 그룹주 상승 속 급등
탑머티리얼(360070)
37,000원(+10.45%) 신규상장 첫날 급등
랩지노믹스(084650)
7,550원(+10.22%) 코로나19 진단키트 3종 개발 및 자체 GMP 생산 시설 구축 완료 소식에 급등
증시요약 & 마감시황.
10/18 KOSPI 2,249.95(+1.36%) 英 금융시장 안정(+), 美 증시 급등(+), 원/달러 환율 급락(+), 기관/외국인 순매수(+)
밤사이 뉴욕증시가 은행주 실적 안도, 英 감세안 철회 등에 급등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2,249.15(+29.44P, +1.33%)로 갭상승 출발. 장초반 2,251.74(+32.03P, +1.44%)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시간이 지날수록 상승폭을 반납하는 모습. 오전 장 후반 2,220.71(+1.00P, +0.05%)까지 밀려나며 저점을 형성한 지수 재차 상승폭 확대. 오후 장중 2,245선 부근에서 강세 흐름을 이어갔고, 장 막판 상승폭을 더욱 키워 2,249.59(+30.24P, +1.36%)로 장을 마감. 3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2,250선에 바짝 다가섬.
英 감세안 철회 소식 및 美 은행주 실적 안도감 등에 뉴욕증시를 비롯한 글로벌 증시가 강세 흐름을 보인 점이 국내 증시에도 호재로 작용. 이날 원/달러 환율이 12원 넘게 급락하는 등 환율이 안정된 모습을 보였고, 아시아 장중 美 지수선물이 큰 폭의 상승세를 보인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기관과 외국인은 동반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특히, 외국인은 12거래일 연속 순매수.
밤사이 제러미 헌트 영국 신임 재무장관은 성명을 통해 “감세안을 대부분 되돌릴 것”이라며, “소득세율 인하를 취소하고 에너지 요금 지원은 축소할 것”이라고 밝힘. 이에 파운드화 가치가 상승하는 등 글로벌 금융시장 전반에 안도감이 형성되는 모습. 아울러 외신에 따르면, 영국 중앙은행인 영란은행(BOE)이 영국 국채인 길트 시장 안정을 위해 양적긴축(QT)을 지연할 것이란 소식도 전해짐.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중국이 하락한 반면, 일본, 대만, 홍콩은 상승하는 등 대부분 상승.
수급별로는 기관과 외국인이 각각 1,599억, 606억 순매수, 개인은 2,337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기관과 개인이 각각 5,019계약, 631계약 순매수, 외국인은 5,727계약 순매도.
업종별로는 모든 업종이 상승. 비금속광물(+5.25%), 건설업(+4.38%), 의료정밀(+3.88%), 화학(+3.03%), 서비스업(+2.96%), 운수창고(+2.66%), 의약품(+2.64%), 통신업(+2.21%), 증권(+2.02%), 종이목재(+1.89%), 금융업(+1.79%), 기계(+1.79%), 유통업(+1.46%) 등이 큰 폭 상승.
마감 지수 : KOSPI 2,249.95P(+30.24P/+1.36%)
10/18 KOSDAQ 697.09(+2.21%) 英 금융시장 안정(+), 美 증시 급등(+), 원/달러 환율 급락(+), 기관/개인 순매수(+)
수급별로는 기관과 개인이 각각 329억, 301억 순매수, 외국인은 778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종목이 상승.
업종별로는 일반전기전자(-1.02%) 업종만 하락했을 뿐, 여타 업종은 일제히 상승. 디지털컨텐츠(+5.19%), 운송장비/부품(+4.14%), IT S/W & SVC(+4.04%), 유통(+3.69%), 제약(+3.45%), 소프트웨어(+3.12%), 인터넷(+3.00%), 건설(+2.64%), 기타서비스(+2.46%), 통신장비(+2.31%), 기계/장비(+2.22%) 업종 등의 강세가 두드러짐.
마감 지수 : KOSDAQ 697.09P(+15.09P/+2.21%)
특징 테마.
▷美 로블록스, 9월 이용자 증가 소식 등에 메타버스/VR/AR/게임/모바일게임 테마 상승.
▷EU, 그린 장벽 확대에 따른 국내 업체 수혜 전망 등에 2차전지/ 전기차/ 풍력에너지/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5.5G/6G 상용화 전망 속 네트워크장비 빅사이클 기대감 등에 5G(5세대 이동통신)/ 통신장비 테마 상승.
▷2024년 마진 회복 기대감 및 저가 매수 유효 분석 등에 석유화학 테마 상승.
▷우크라이나-러시아 포로 교환 및 우크라이나 재건 기대감 등에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테마 상승.
▷앨범 판매량 성장세 지속 및 주요 아티스트 컴백 기대감 등에 음원/음반/ 엔터테인먼트 테마 상승.
▷美 은행주 양호한 실적 발표 등에 美 은행주 상승 속 은행 테마 상승.
▷독일 요소수 대란 우려 등에 요소수 관련주 상승.
▷금일 코로나19 신규 확진 3만3,248명 3개월만에 더블링 및 코로나19·독감 동시 진단 콤보키트 18개 허가 확인 소식 속 코로나19(진단키트) 테마 상승.
▷필립 골드버그 美 대사, IRA 관련 현대차 문제 해법 모색 발언 및 현대차·기아 유럽 점유율 10% 육박 소식 등에 자동차 대표주 상승.
▷국내증시 상승 속 증권 테마 상승.
▷이 외에 건설 대표주, 창투사, 유전자 치료제/분석, 줄기세포, 치매, 바이오시밀러, 국내 상장 중국기업, 미용기기, 제약업체, 의료기기, 여행 등 대부분의 테마가 상승.
▷반면, 현대미포조선 노조 파업 가능성 속 현대미포조선(-3.90%), 현대중공업(-2.14%)이 하락한 가운데, 조선 테마 하락.
▷이 외에 희귀금속(희토류 등), 일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등 일부 테마만이 하락.
국내 환율
내일의 이슈&테마
10월 19일 수요일
1. 샤페론 신규상장 예정
2. 美) 연준 베이지북 공개(현지시간)
3. 美) 테슬라 실적발표(현지시간)
4.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5. 찰스 에반스 시카고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6. 제임스 불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7. 현대차 토론공시그룹, 5조원 규모 협력사 지원 방안 발표 예정
8. 프랑크푸르트 도서전(현지시간)
9. LG화학 토론공시 실적발표 예정
10. 모코엠시스, 스팩합병 상장 예정
11. 저스템 공모청약
12. 산돌 공모청약
13. IBKS스팩20호 공모청약
14. 싸이토젠 토론공시 추가상장(무상증자)
15. 아나패스 토론공시 추가상장(CB전환)
16. 다이나믹디자인 추가상장(CB전환)
17. 바른전자 추가상장(CB전환)
18. 코스나인 추가상장(CB전환)
19. 동원시스템즈 보호예수 해제
20. 美) 9월 주택착공, 건축허가(현지시간)
21. 美) 주간 MBA 모기지 신청건수(현지시간)
22. 美) 주간 원유재고(현지시간)
23. 美) IBM 실적발표(현지시간)
24. 美) P&G 실적발표(현지시간)
25. 美) 알코아 실적발표(현지시간)
26. 美) 트래블러스 컴퍼니 실적발표(현지시간)
27. 유로존) 8월 건설생산(현지시간)
28. 유로존)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확정치(현지시간)
29. 영국) 8월 주택가격지수(현지시간)
30. 영국)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현지시간)
31. 영국) 9월 생산자물가지수(PPI)(현지시간)
32. 日) 세이지 아다치 일본중앙은행(BOJ) 정책 이사 연설
33.
34.
본문 내용중 저작권등의 문제가 발생할 시에는 알려주시면 해당부분은 삭제 하도록 하겠습니다.
인포스탁 홈페이지(www.infostock.co.kr)의 자료를 참고 하였습니다.
728x90'주식,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10. 19.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0) 2022.10.19 2022. 10. 17.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0) 2022.10.18 2022. 10. 14.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1) 2022.10.14 2022. 10. 13.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2) 2022.10.13 2022. 10. 12.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0) 2022.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