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22. 11. 07.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주식, 경제 2022. 11. 7. 17:55
    728x90

    상한가 및 급등종목​​​​​​​​​​​​​​​​​​​​​​​​​​​​​​​​​​​

    2022. 11. 07.

    인디에프(014990)

    1,605원(+29.96%) 네옴시티 수주지원단에 쌍용건설 포함 소식 속 쌍용건설 인수 추진 글로벌세아, 동사의 최대주주인 점 지속 부각에 상한가

    클리노믹스(352770)

    6,980원(+26.22%) 정밀 조기 심근경색 DNA 지표 개발 성공 소식에 급등

    대모(317850)

    15,250원(+25.51%) 美, 우크라에 러시아와 휴전 협상 설득 소식 등에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피코그램(376180)

    77,300원(+19.11%) 주당 5주 배정 무상증자 결정에 급등

    다올인베스트먼트(298870)

    2,945원(+17.56%) 한림대학교-BMT 연구진, 72시간내 암세포 사멸 항암제 개발 소식 속 BMT 투자 사실 지속 부각에 급등

    TPC(048770)

    3,930원(+16.10%) 클리셀 공동 연구팀, 국내 최초 인공 심장 개발 소식 속 클리셀로부터 바이오 3D프린팅 기술이전 계약 체결 사실 부각에 급등

    코오롱글로벌(003070)

    21,200원(+15.53%) 네옴시티 지원단 포함 이슈 지속 부각에 급등

    메디아나(041920)

    5,360원(+15.02%) 자동 CPR 특허 인수 소식에 급등

    상지카일룸(042940)

    660원(+14.98%) 경영권 분쟁 소송 속 급등

    케어젠(214370)

    116,900원(+14.83%) 471억 규모 건강기능식품 공급계약 체결 소식 등에 급등

    서암기계공업(100660)

    7,180원(+14.33%) 美, 우크라에 러시아와 휴전 협상 설득 소식 등에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테스(095610)

    17,600원(+13.18%)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폭등 및 23년 하반기 중 메모리 반도체 가격 반등 전망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팬오션(028670)

    4,780원(+12.47%) 中 코로나 규제 완화 기대감 등에 따른 발틱운임지수(BDI) 선물 운임 반등 분석 등에 해운 테마 상승 속 급등

    비덴트(121800)

    4,090원(+12.21%) 美 중간선거 공화당 승리 시 가상자산 시장에 긍정적 분석 등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태성(323280)

    1,630원(+12.03%) 2차전지 장비 시장 진출 기대감 등에 급등

    로지시스(067730)

    4,990원(+12.01%) 한국은행, CBDC 모의실험 연구사업 완료 소식 등에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엔비티(236810)

    4,500원(+10.97%) 쿠팡 실적 개선 기대감 속 글로벌 기관투자자 쿠팡 지분 확대 소식 등에 쿠팡 관련주 상승 속 급등

    금양(001570)

    32,800원(+10.07%) 리튬가격 연일 상승 속 콩고 리튬 광산 개발 MOU 체결 사실 지속 부각에 급등

    증시요약 & 마감시황.

    11/7 KOSPI 2,371.79(+0.99%) 美 증시 강세(+), 원/달러 환율 급락(+), 中 코로나 규제 완화 기대감 지속(+), 외국인/기관 순매수(+)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고용지표 호조 속 공격적 긴축 우려 지속에도 美 2년물 국채금리 하락, 반발 매수세 유입, 中 코로나 규제 완화 기대감 등에 큰 폭으로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저가 매수세 유입 속 일제히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2,360.22(+11.79P, +0.50%)로 상승 출발. 장초반 2,354.22(+5.79P, +0.25%)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빠르게 상승폭을 키워 2,372선까지 올라서기도 함. 오전 중 2,355선까지 상승폭이 둔화되기도 했지만, 재차 상승폭을 확대했고 오후 장중 2,373.28(+24.85P, +1.06%)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이후 일부 상승폭을 반납하기도 했지만, 장 후반 재차 상승폭을 확대해 결국 2,371.79(+23.36P, +0.99%)로 장을 마감.

    美 고용지표 호조 속 Fed 공격적 긴축 우려 지속에도 뉴욕 3대 지수가 큰 폭의 상승세를 보인 가운데, 원/달러 환율이 급락세를 보이면서 증시에 호재로 작용. 중국 당국의 ‘제로 코로나’ 유지 기조에도 中 코로나 규제 완화 기대감이 지속되며 중국, 홍콩 등 중화권 증시가 연일 강세를 보인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수하면서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외국인은 6거래일 연속, 기관은 이틀째 순매수.

    일본, 중국, 대만, 홍콩 등 아시아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상승.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111억, 2,768억 순매수, 개인은 4,064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기관이 579계약 순매수,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1,847계약, 1,260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 POSCO홀딩스(+8.01%), 현대차(+3.99%), 기아(+2.76%), 포스코케미칼(+2.39%), 신한지주(+2.38%), SK하이닉스(+2.37%), SK이노베이션(+2.25%), LG화학(+2.03%), SK(+1.83%), 삼성바이오로직스(+1.38%), 삼성전자(+1.35%), 삼성SDI(+0.95%), 현대모비스(+0.91%), KB금융(+0.74%) 등이 상승. 반면, NAVER(-2.87%)가 3분기 영업이익 부진 등에 하락했고, 카카오(-0.89%), LG에너지솔루션(-0.84%), 셀트리온(-0.54%) 등이 하락. 삼성물산은 보합.

    업종별로도 상승 업종이 우세. 철강금속(+4.98%), 건설업(+3.02%), 운수창고(+2.50%), 의료정밀(+2.41%), 증권(+2.29%) 업종의 강세가 두드러졌으며, 화학(+1.76%), 비금속광물(+1.68%), 운수장비(+1.23%), 제조업(+1.18%), 기계(+1.02%), 의약품(+0.98%), 전기전자(+0.93%) 업종 등이 상승. 반면, 섬유의복(-1.55%), 음식료업(-1.07%), 보험(-0.46%), 통신업(-0.45%), 서비스업(-0.19%)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371.79P(+23.36P/+0.99%)

    11/7 KOSDAQ 700.48(+0.95%) 美 증시 강세(+), 中 코로나 규제 완화 기대감 지속(+), 원/달러 환율 급락(+), 외국인 순매수(+)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860억 순매수, 기관과 개인은 각각 553억, 285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 종목이 우세. 위메이드(+4.78%), 동진쎄미켐(+4.15%), 씨젠(+2.86%), 리노공업(+2.67%), 솔브레인(+2.32%), 펄어비스(+2.12%), 에스엠(+1.59%), CJ ENM(+1.22%), 카카오게임즈(+1.03%), 스튜디오드래곤(+0.92%), 에코프로(+0.80%), 셀트리온제약(+0.46%) 등이 상승. 반면, 더블유씨피(-5.42%), 천보(-2.33%), 엘앤에프(-1.86%), 에코프로비엠(-1.18%), HLB(-0.53%), 셀트리온헬스케어(-0.15%) 등은 하락.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상승. 반도체(+2.95%), 기타 제조(+2.81%), 비금속(+2.62%), 출판/매체복제(+2.03%) 업종의 강세가 두드러졌으며, 디지털컨텐츠(+1.83%), 컴퓨터서비스(+1.83%), 제약(+1.72%), IT S/W & SVC(+1.67%), 통신서비스(+1.60%), 금융(+1.58%), 소프트웨어(+1.58%), 통신장비(+1.53%), IT H/W(+1.34%) 업종 등이 큰 폭 상승. 반면, 일반전기전자(-0.83%), 정보기기(-0.74%), 종이/목재(-0.74%), IT 부품(-0.48%), 금속(-0.23%) 업종만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700.48P(+6.59P/+0.95%)

    특징 테마.

    ▷中 코로나 규제 완화 기대감 등에 따른 발틱운임지수(BDI) 선물 운임 반등 분석 등에 해운 테마 상승.

    ▷국제유가 급등 등에 정유/ LPG(액화석유가스)/ 석유화학 테마 상승.

    ▷中 코로나 규제 완화 기대감 속 철강 선물가격 반등 등에 철강 주요종목/중소형 테마 상승.

    ▷주요 타이어 생산업체 미국/유럽 증설 기대감에 타이어 테마 상승.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폭등 및 23년 하반기 중 메모리 반도체 가격 반등 전망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美 IRA 3년 유예 가능성에 자동차 대표주/부품 테마 상승.

    ▷저가 매수 기회 분석 및 증시 강세 등에 증권 테마 상승.

    ▷한국은행, CBDC 모의실험 연구사업 완료 소식 등에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테마 상승.

    ▷美, 우크라에 러시아와 휴전 협상 설득 소식 등에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를 비롯해 건설기계 테마 상승.

    ▷쿠팡 실적 개선 기대감 속 글로벌 기관투자자 쿠팡 지분 확대 소식 등에 쿠팡 관련주 상승.

    ▷美 중간선거 공화당 승리 시 가상자산 시장에 긍정적 분석 등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신규 게임 출시 예정 기업, 실적 성장 기대감 등에 게임/모바일게임(스마트폰) 테마 상승.

    ▷전북 전주에 국내 최대 상용차 수소충전소 준공 소식 속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테마 상승.

    ▷'플라스틱 퇴출'에 따른 프랜차이즈 업체, 종이 빨대 도입 수혜 기대감 속 제지 테마 상승.

    ▷네옴시티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네옴시티 관련주 상승.

    ▷코로나19 재유행 우려 등에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이 외 토스 관련주, 희귀금속(희토류 등), 창투사, NFT(대체불가토큰), 백신여권, 재택근무/스마트워크, 탄소나노튜브(CNT), LED장비, 모바일솔루션(스마트폰), 북한 광물자원개발, 3D 프린터, 남북경협, 스마트팩토리, 화학섬유, 광고 테마 등이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자동차보험료 추가 인하 검토 소식에 손해보험 테마 하락.

    ▷NAVER, 3분기 영업이익 부진 등에 하락하는 등 인터넷 대표주 테마 하락.

    ▷이 외 항공기부품, CCTV & DVR, 강관업체, 우주항공산업, 편의점, 소모성자재구매대행(MRO), 드론, 통신,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조선/조선기자재 테마 등이 하락률 상위를 기록.

    ▷한편, 중국 당국이 지난 주말 기자회견을 통해 '제로 코로나' 유지 기조를 밝히며 이날 장 초반 화장품, 카지노, 면세점 등 중국 소비 관련주가 하락세를 보이기도 했지만, 내년 3월 양회 이후 방역 규제 완화가 기대된다는 분석 속 낙폭을 회복하는 등 관련주가 하락폭을 되돌리며 혼조세를 나타냈음.

    국내 환율

    내일의 이슈&테마

    11월 08일 화요일

    1. 美 2022년 중간선거 예정(현지시간)

    2. 美 면역항암학회(SITC) 개최 예정(현지시간)

    3. 美·대만, 뉴욕서 공식 무역협상 예정(현지시간)

    4. 서울도심 기본계획 공청회 예정

    5. 한은, '중앙은행 디지털화폐' 관련 컨퍼런스 개최

    6. 지니뮤직어워드 2022 개최

    7. 삼성 AI 포럼

    8. SK [ 222,000 상향 (+1.83%) ] 토론공시 테크서밋

    9. 중국 주하이 에어쇼 예정

    10. 9월 국제수지(잠정)

    11. 3분기 제조업 국내공급동향

    12. KT [ 36,300 하향 (-0.55%) ] 토론공시 실적발표 예정

    13. 롯데케미칼 [ 171,500 상향 (+8.89%) ] 토론공시 실적발표 예정

    14. 코오롱인더 [ 46,150 상향 (+2.21%) ] 토론공시 실적발표 예정

    15. 현대백화점 [ 56,800 상향 (+1.61%) ] 토론공시 실적발표 예정

    16. GS리테일 [ 27,300 하향 (-0.73%) ] 토론공시 실적발표 예정

    17. SK네트웍스 [ 4,155 상향 (+0.97%) ] 토론공시 실적발표 예정

    18. NHN [ 24,100 상향 (+2.34%) ] 토론공시 실적발표 예정

    19. 현대에버다임 [ 10,050 상향 (+7.72%) ] 토론공시 실적발표 예정

    20. CJ대한통운 [ 87,900 상향 (+1.85%) ] 토론공시 실적발표 예정

    21. CJ ENM 실적발표 예정

    22. CJ CGV 실적발표 예정

    23. 레이언스 [ 9,640 상향 (+0.21%) ] 토론공시 실적발표 예정

    24. 바텍 [ 31,500 상향 (+1.61%) ] 토론공시 실적발표 예정

    25. 스튜디오드래곤 [ 65,600 상향 (+0.92%) ] 토론공시 실적발표 예정

    26. 동양생명 [ 5,180 하향 (-0.19%) ] 토론공시 실적발표 예정

    27. 티쓰 리엔터테인먼트 공모청약

    28. 유비온 공모청약

    29. 티에프이 공모청약

    30. 가온전선 [ 15,050 상향 (+2.03%) ] 토론공시 추가상장(유상증자)

    31. 한일현대시멘트 [ 18,900 상향 (+0.53%) ] 토론공시 추가상장(유상증자)

    32. 대유에이피 [ 6,040 상향 (+0.33%) ] 토론공시 추가상장(CB전환)

    33. 투비소프트 [ 1,060 하향 (-1.40%) ] 토론공시 추가상장(CB전환)

    34. 코스나인 [ 781 하향 (-2.50%) ] 토론공시 추가상장(CB전환)

    35. 한일단조 [ 2,935 하향 (-2.98%) ] 토론공시 추가상장(CB전환)

    36. 지니너스 보호예수 해제

    37. 美) 10월 NFIB 소기업 낙관지수(현지시간)

    38. 美) 듀폰 실적발표(현지시간)

    39. 美) 디즈니 실적발표(현지시간)

    40. 유로존) 9월 소매판매(현지시간)

    41. 유로존) 유럽연합(EU) 경제·재무장관 이사회(ECOFIN) 회의(현지시간)

    42. 독일) 요아힘 나겔 분데스방크 총재 연설(현지시간)

    43. 日) 일본은행(BOJ) 금융정책결정회의 요약본

    44. 日) 9월 가계지출

    45. 日) 9월 경기동향지수(예비치)

    46. 日) 10월 외환보유액

    본문 내용중 저작권등의 문제가 발생할 시에는 알려주시면 해당부분은 삭제 하도록 하겠습니다.

    인포스탁 홈페이지(www.infostock.co.kr)의 자료를 참고 하였습니다.

    #상한가 #코스닥 #코스피 #이슈 #주식 #주식시황 #증권 #급등종목​​ #환율

    728x90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