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01. 17.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주식, 경제 2023. 1. 17. 17:24728x90
상한가 및 급등종목
2023. 1. 17.
알로이스(297570)
2,095원(+29.72%) 삼성·LG전자 등 TV제조사, OTT 시장 진출 기대감 속 OTT 셋톱박스 생산전문 업체로 부각되며 상한가
세림B&G(340440)
2,765원(+22.35%) 폐페트병 '물리적 재생원료' 최초 인정 소식 속 플라스틱 생분해 기술 보유 부각에 급등
이수앱지스(086890)
7,300원(+18.12%) 면역 항암 치료제 'ISU 106' 기술이전 계약 체결에 급등
핸디소프트(220180)
4,045원(+17.93%) 마이크로소프트, '오픈AI'에 100억 달러 규모 투자 기대감 지속 속 MS의 빅데이터, AI 활용 확장성을 지원하는 그룹웨어 소프트웨어 출시 이력 지속 부각에 급등
알체라(347860)
11,000원(+17.02%) 메타버스(Metaverse) 및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스마트 뷰잉(SMART VIEWING) 콘셉트 신규 론칭 모멘텀 지속 등에 급등
래몽래인(200350)
24,900원(+13.70%) 일부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및 경영권 분쟁 소송 속 급등
서연탑메탈(019770)
4,900원(+13.03%) 푸틴 정계 은퇴 선언 및 우크라이나 전쟁 협상 예상 소식에 일부 건설기계/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노블엠앤비(106520)
1,740원(+12.62%)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및 일부 드론(Drone) 테마 상승 속 급등
KC코트렐(119650)
1,950원(+12.39%) 윤석열 대통령, UAE와 탄소중립 협력 기대 발언 등에 일부 온실가스(탄소배출권) 테마 상승 속 급등
한국전자인증(041460)
6,100원(+12.34%) 택배산업 최첨단 기술 도입 본격 경쟁 돌입 소식 및 국내 주요 기업 로봇 사업 본격화 기대감 지속 등에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급등
맥스트(377030)
14,500원(+11.97%) 애플 MR 헤드셋 출시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증강현실(AR)/메타버스(Metaverse) 테마 상승 속 급등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
63,200원(+11.46%) 택배산업 최첨단 기술 도입 본격 경쟁 돌입 소식 및 국내 주요 기업 로봇 사업 본격화 기대감 지속 등에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급등
플리토(300080)
27,000원(+10.66%) 카카오 픽코마, 번역 스타트업 보이스루 인수 소식 속 번역 서비스 사업 영위 사실 지속 부각에 급등
에스디생명공학(217480)
1,565원(+10.21%) 설 연휴 전후 실내 마스크 의무 해제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화장품 테마 상승 속 급등
증시요약 & 마감시황.
1/17 KOSPI 2,379.39(-0.85%) 기관 순매도(-), 中 지난해 연간 GDP 성장률 정부 목표치 큰 폭 하회(-)
지난밤 뉴욕증시가 마틴 루터 킹 데이로 휴장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인플레이션 완화 기대감 및 유럽 에너지 가격 하락 영향 등으로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2,400.92(+1.06P, +0.04%)로 강보합 출발. 장 초반 2,404.00(+4.14P, +0.17%)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했으나 보합권을 중심으로 등락을 거듭. 이후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점차 확대. 오후 들어 2,385선을 중심으로 움직이다 장 후반 낙폭을 더욱 키웠고, 2,374.65(-25.21P, -1.05%)에 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끝에 2,379.39(-20.47P, -0.85%)에서 거래를 마감.
기관 순매도 등에 코스피지수는 10거래일만에 하락. 기관이 사흘만에 순매도하면서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외국인은 5거래일 연속 순매수, 개인은 10거래일만에 순매수 전환. 지난밤 美증시 휴장 속 뚜렷한 재료가 부재한 가운데, 연초 랠리에 따른 차익매물 출회 등이 시장 전반에 부담으로 작용했음. 중국의 지난해 연간 GDP가 중국 정부의 목표치를 크게 하회한 점도 코스피지수 하락에 영향을 미쳤음.
일본, 대만이 상승했고, 중국, 홍콩이 하락하는 등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등락이 엇갈림.
수급별로는 기관이 3,109억 순매도,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1,279억, 1,808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기관이 3,150계약 순매도,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606계약, 1,391계약 순매수.
업종별로도 대부분 하락. 서비스(-2.12%), 의약품(-2.10%), 의료정밀(-1.76%), 철강/금속(-1.35%), 음식료(-1.01%), 전기/전자(-0.96%), 제조(-0.90%), 화학(-0.73%), 기계(-0.67%), 건설(-0.64%), 금융(-0.62%), 종이/목재(-0.27%) 등이 하락. 반면, 보험(+1.42%), 운수창고(+0.95%), 전기가스(+0.42%), 비금속광물(+0.35%), 통신(+0.30%), 유통(+0.29%)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PI 2,379.39P(-20.47P/-0.85%)
1/17 KOSDAQ 709.71(-1.00%)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中 지난해 연간 GDP 부진(-)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도 등에 코스닥지수는 5거래일만에 하락. 뉴욕증시 휴장 속 시장을 움직일만한 뚜렷한 이슈가 부재한 가운데, 최근 상승에 따른 차익매물이 출회되는 모습. 중국의 지난해 연간 GDP 성장률 정부 목표치 큰 폭 하회 등도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
업종별로도 대부분 하락. 제약(-1.94%), 섬유/의류(-1.82%), 종이/목재(-1.73%), 디지털컨텐츠(-1.61%), 유통(-1.56%), 방송서비스(-1.50%), 운송장비/부품(-1.47%), 기타서비스(-1.45%), 인터넷(-1.43%), 화학(-1.30%), 음식료/담배(-1.24%), 비금속(-1.24%), 건설(-1.12%), 제조(-1.11%), 통신장비(-1.03%), 일반전기전자(-1.00%) 등이 하락. 반면, 기타제조(+1.91%), 소프트웨어(+0.96%), 통신서비스(+0.33%), 운송(+0.05%)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709.71P(-7.18P/-1.00%)
특징 테마.
▷애플 MR 헤드셋 출시 기대감 지속 등에 메타버스(Metaverse)/ AR/ VR 테마 상승.
▷택배산업 최첨단 기술 도입 본격 경쟁 돌입 소식 및 국내 주요 기업 로봇 사업 본격화 기대감 지속 등에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윤석열 대통령, UAE와 탄소중립 협력 기대 발언 등에 일부 온실가스(탄소배출권) 테마 상승.
▷드론 요격체계 내년 군 실전 배치 기대감 부각에 일부 드론(Drone) 테마 상승.
▷푸틴 정계 은퇴 선언 및 우크라이나 전쟁 협상 예상 소식에 일부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건설기계 테마 상승.
▷인테리어 업종, 주택 매매거래량 등 주가 상승 요인 분석 속 일부 리모델링/인테리어 테마 상승.
▷中 경기 회복 기대감 지속에 따른 철강 가격 상승 등에 일부 철강 주요종목/중소형 테마 상승.
▷자동차보험 손해율 개선에 따른 지난해 역대급 실적 기대감 지속 등에 손해보험 테마 상승.
▷설 연휴 앞두고 여행 수요 회복 기대감 지속 등에 여행, 항공/저가 항공사 테마 상승.
▷삼성·LG 전자 등 TV제조사, OTT 시장 진출 기대감 속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설 연휴 전후 실내 마스크 의무 해제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화장품 테마 상승.
▷이 외 AI 챗봇(챗GPT 등), 토스 관련주, 쿠팡 관련주, 마이데이터, 영화, 국내 상장 중국기업, 해운, 통신, 야놀자 관련주, 조선, 블록체인, 엔터테인먼트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이복현 금감원장, 주주환원 관련 강경 발언 속 차익 실현 매물 출회 등에 은행 테마 하락.
▷차익 실현 매물 출회 등에 인터넷 대표주 하락.
▷일부 국가들의 전기차 보조금 감축·폐지 소식 및 LG에너지솔루션, 테슬라 원통형 배터리 주문 축소 루머 등에 2차전지/전기차 테마 하락.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소화 속 경기침체 및 자금난 우려 지속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하락.
▷정부, 실내 마스크 해제 논의 시작 속 마스크 테마 하락.
▷이 외 수산, 폐배터리 관련주, 마리화나(대마), 전자결제(전자화폐), 모바일게임, 원자력발전,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 전력저장장치(ESS), 마켓컬리 관련주,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MLCC, 재택근무/스마트워크, 창투사, 홈쇼핑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국내 환율
내일의 이슈&테마
01월 18일 수요일
1. 美) 12월 생산자물가지수(현지시간)
2. 美) 12월 소매판매(현지시간)
3. 美) 12월 산업생산(현지시간)
4. 美) 연준 베이지북 공개(현지시간)
5. 日) 일본은행(BOJ) 금융정책회의 2일차
6. 대만 증시 휴장
7. 제임스 불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8. 로리 로건 댈러스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9. 류허 中부총리·옐런 美재무장관 회담 예정(현지시간)
10. 우리금융 임원후보추천위원회 회의 예정
11. 이복현 금감원장, 은행장 간담회 예정
12. 한온시스템, 최대주주 지분 매각 추진 관련 재공시 기한
13. 고영 [ 13,450 하향 (-2.54%) ] 토론공시 실적발표 예정
14. 남광토건 [ 10,400 하향 (-1.89%) ] 토론공시 추가상장(유상증자)
15. 비덴트 [ 4,340 하향 (-3.56%) ] 토론공시 추가상장(주식전환)
16. 인바이오젠 [ 891 하향 (-1.55%) ] 토론공시 추가상장(주식전환)
17. 아스트 [ 3,810 하향 (-2.31%) ] 토론공시 추가상장(BW행사)
18. HLB테라퓨틱스 [ 11,900 하향 (-11.19%) ] 토론공시 추가상장(CB전환)
19. 키다리스튜디오 [ 10,100 하향 (-2.88%) ] 토론공시 보호예수 해제
20. 에이치앤비디자인 보호예수 해제
21. 탑머티리얼 [ 32,100 하향 (-3.17%) ] 토론공시 보호예수 해제
22. 美) 11월 기업재고(현지시간)
23. 美) 1월 NAHB 주택시장지수(현지시간)
24. 美) 주간 MBA 모기지 신청건수(현지시간)
25. 美) 알코아 실적발표(현지시간)
26. 유로존)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확정치(현지시간)
27. 유로존) 11월 건설생산(현지시간)
28. 영국) 11월 주택가격지수(현지시간)
29. 영국)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현지시간)
30. 영국) 12월 생산자물가지수(PPI)(현지시간)
31. 日) 일본은행(BOJ) 전망 보고서
32. 日) 11월 산업생산(수정치)
33. 日) 11월 핵심기계류수주
본문 내용중 저작권등의 문제가 발생할 시에는 알려주시면 해당부분은 삭제 하도록 하겠습니다.
인포스탁 홈페이지(www.infostock.co.kr)의 자료를 참고 하였습니다.
728x90'주식,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01. 20.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0) 2023.01.20 2023. 01. 18.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0) 2023.01.18 2023. 01. 16.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0) 2023.01.16 2023. 01. 12.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0) 2023.01.12 2023. 01. 11.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0) 2023.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