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22. 10. 11.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주식, 경제 2022. 10. 11. 17:28
    728x90

    상한가 및 급등종목​​​​​​​​​​​​​​​​​​​​​​​​​​​​​​​​​​​

    2022. 10. 11.

    다이나믹디자인(145210)

    13,950원(+29.77%) 투자자들의 CB 전환청구권 행사에 따른 재무구조 개선 기대감 지속 및 최대주주 변경 수반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검토 소식 속 상한가

    코디엠(224060)

    812원(+29.92%) 삼성전자, 세메스 노광 공정용 트랙 장비 승인(퀄) 테스트 성공 소식에 세메스 반도체 장비 개발 참여 사실 지속 부각에 상한가

    동국알앤에스(075970)

    4,475원(+29.90%) 中 희토류 수출 통제 가능성 부각 등에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 상승 속 상한가

    코아스템(166480)

    11,650원(+29.88%) 켐온 , 동사로 피흡수합병 안건 주총 승인 소식. 루게릭병 치료제, 긍정적인 효과 확인 및 임상 3상 승인 기대감 등에 상한가

    켐온(217600)

    2,615원(+27.87%) 코아스템으로 피흡수합병 안건 주총 승인 소식에 급등

    엔젠바이오(354200)

    10,200원(+22.01%) 4조원 규모 결핵시장 공략 소식 및 혈액 기반 치매 조기진단 의료기기 시제품 개발 모멘텀 지속 등에 급등

    SCI평가정보(036120)

    4,685원(+17.27%) 한국은행 빅스텝 전망 등에 급등투비소프트(079970)1,270원(+14.41%) 자회사 투비디티엑스, 키월드그룹과 디지털헬스케어 관련 MOA 체결 소식 속 급등

    유니온머티리얼(047400)

    2,930원(+14.01%) 中 희토류 수출 통제 가능성 부각 등에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나노씨엠에스(247660)

    21,650원(+13.95%) 백악관·FDA·CDC 관계자 참석 국제자외선협회서 플라즈마 가드 222 소개 소식 속 급등

    해성산업(034810)

    10,650원(+10.94%) 종속회사 계양전기 투자사업부문 분할흡수합병 결정에 급등

    랩지노믹스(084650)

    7,430원(+10.07%) 클리아랩 인수 기대감 등에 급등

    증시요약 & 마감시황.

    10/11 KOSPI 2,192.07(-1.83%) Fed 공격적 긴축 우려 지속(-), 러-우크라 전쟁 및 美-中 반도체 분쟁(-), 기관 순매도(-)

    지난밤 뉴욕증시가 Fed 긴축 우려 지속 및 러-우크라 지정학적 리스크 등에 하락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하락. 이날 코스피지수는 2,193.02(-39.82P, -1.78%)로 약세 출발. 장 초반 낙폭을 키워 2,174.06(-58.78P, -2.63%)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 이후 낙폭을 줄여 오전중 2,193.05(-39.79P, -1.78%)에서 장중 고점을 기록. 그러나 이후 재차 낙폭을 키웠고, 지지부진한 흐름을 지속. 오후 들어 장 후반으로 갈수록 소폭이 나마 낙폭을 줄였으나 결국 2,192.07(-40.77P, -1.83%)에서 거래를 마감.

    지난 주말 발표된 美 실업률이 양호한 수준을 보이면서 Fed의 긴축 우려가 지속됐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확전 가능성 등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 등이 증시 전반에 악재로 작용. 금융투자를 중심으로한 기관이 3,000억 넘게 순매도하면서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원/달러 환율도 23원 가까이 급등하면서 지수에 부담으로 작용. 다만, 외국인이 7거래일 연속 순매수했고, 연기금 등이 1,400억원 가까이 순매수하면서 지수의 하단은 제한.

    현지시간으로 7일 발표된 美 고용동향보고서에 따르면, 비농업 부문 고용이 26만3,000명 증가해 시장 예상치인 27만5,000명 증가를 소폭 하회했고, 전월의 31만5,000명 증가 역시 하회. 다만, 실업률이 3.5%로 전월의 3.7%에서 하락, 경기침체 우려에도 여전히 실업률이 반세기래 최저 수준에 머물면서 Fed의 고강도 긴축 우려가 지속되는 모습.

    일본, 대만, 홍콩이 하락했고, 중국이 상승하는 등 아시아 주요국 지수도 대부분 하락.

    수급별로는 기관이 3,103억 순매도,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1,982억, 1,080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기관과 개인이 각각 1,524계약, 1,422계약 순매도, 외국인은 3,708계약 순매수.

    업종별로는 모든 업종이 하락. 건설(-5.11%), 섬유/의복(-4.92%), 기계(-4.71%), 운수장비(-3.96%), 전기가스(-3.79%), 운수창고(-3.51%), 종이/목재(-3.50%), 의료정밀(-3.17%), 서비스(-2.80%), 금융(-2.72%), 증권(-2.70%), 통신(-2.60%), 보험(-2.12%), 음식료(-2.09%) 등이 2% 넘게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192.07P(-40.77P/-1.83%)

    10/11 KOSDAQ 669.50(-4.15%) Fed 공격적 긴축 우려 지속(-), 러-우크라 전쟁 및 美-中 반도체 분쟁(-), 외국인·기관 순매도(-)

    지난 주말 발표된 美 고 용지표 호조에 따른 Fed의 공격적 긴축 우려 지속, 러시아-우크라이나 지정학적 리스크 확산, 美-中 반도체 전쟁 등으로 투자심리가 위축됐고,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도 등으로 코스닥지수는 급락 마감. 외국인과 기관은 이틀 연속 동반 순매도를 기록. 코스닥지수는 2020년5월 이후 처음으로 종가기준 670선을 하회하며 거래를 마감.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646억, 754억 순매도, 개인은 1,420억 순매수.

    업종별로는 모든 업종이 하락. 통신장비(-7.04%), 컴퓨터서비스(-6.21%), 오락문화(-5.65%), 종이/목재(-5.57%), 디지털컨텐츠(-5.33%), IT S/W & SVC(-5.18%), 운송장비/부품(-5.15%), 제약(-5.02%), 섬유/의 류(-5.01%), 소프트웨어(-5.00%), 금속(-4.53%), 기계/장비(-4.49%) 등이 큰 폭으로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669.50P(-28.99P/-4.15%)

    특징 테마.

    ▷美, 대중 반도체 수출 규제 속 中 희토류 수출 통제 가능성 부각 등에 희귀금속(희토류 등) 테마 상승.

    ▷LG에너지솔루션 3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등 배터리 업체 호실적 기대감 지속 속 일부 2차전지(생산) 테마 상승.

    ▷반면, 美, 대중 반도체 수출 규제 여파 속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연일 급락, 국내 반도체 수출 부진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장비, 반도체 재료/부품, 시스템반도체 등 반도체 관련 테마 하락.

    ▷UBS, 美 포드/GM 투자의견 강등 소식 속 자동차 대표주, 자동차부품 테마 하락.

    ▷대규모 리콜 발표에 따른 리비안 주가 급락 등에 리비안 관련주 하락.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 급락 등에 해운 테마 하락.

    ▷올해 5G 가입자 3,000만명 확보 목표 달성 난항 전망 등에 5G, 통신장비, 통신 테마 하락.

    ▷주요 게임업체, 3분기 실적 부진 우려 지속 등에 게임, 모바일게임 테마 하락.

    ▷中 코로나19 봉쇄조치 강화 소식 속 카지노, 면세점, 여행, 항공/저가 항공사 등 리오프닝 테마 하락.

    ▷Fed 공격적 긴축 우려 지속 속 인터넷 대표주, IT 대표주, 엔터테인먼트, 메타버스, NFT, 2차전지 등 기술/성장 테마 동반 하락.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가격 하락 및 빗썸 관계사 압수수색 소식 등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두나무 관련주 하락.

    ▷이 외 증시 급락 속 증권 테마가 하락했고, 키오스크, 원자력발전소 해체, 야놀자 관련주, 증강현실(AR), 네옴시티 관련주, 코로나19 관련주, 일자리(취업), mRNA, 영화, 영상콘텐츠, DMZ 평화공원, 철도,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창투사, 4대강 복원, 마켓컬리 관련주, 수자원(양적/질적 개선),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등이 하락률 상위를 기록하 는 등 대부분 테마가 하락.

    국내 환율

    내일의 이슈&테마

    10월 12일 수요일

    1. 금융통화위원회

    2. 美) FOMC 의사록 공개(현지시간)

    3. 美) 9월 생산자물가지수(현지시간)

    4. 마이클 바 연준 금융감독 부의장 연설 예정(현지시간)

    5. G20 재무장관 중앙은행 총재 회의 개최 예정(현지시간)

    6.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개최 예정(현지시간)

    7. 인텔, 아크 A770 그래픽카드 출시 예정(현지시간)

    8. 삼성준법감시위원회 개최 예정

    9. 통신 3사, 망사용료 관련 간담회 개최 예정

    10. 스마트 모빌리티 물류 산업전 개최 예정

    11. 국고채 2년물 입찰 예정

    12. [ 12,100 변화없음 (0.00%) ] 토론공시 상폐여부 결정

    13. 핀텔 공모청약

    14. 플라즈맵 공모청약

    15. NH스팩24호 공모청약

    16. 하나금융스팩25호 공모청약

    17. 한국스팩11호 공모청약

    18. [ 1,695 상향 (+3.35%) ] 토론공시 추가상장(유상증자)

    19. [ 9,970 하향 (-5.50%) ] 토론공시 추가상장(유상증자)

    20. [ 24,800 하향 (-3.50%) ] 토론공시 추가상장(CB전환)

    21. 美) 주간 MBA 모기지 신청건수(현지시간)

    22. 美) 펩시코 실적발표(현지시간)

    23. 유로존) 9월 장기금리통계(현지시간)

    24. 유로존) 8월 산업생산(현 지시간)

    25. 영국) 8월 산업생산(현지시간)

    26. 영국) 8월 무역수지(현지시간)

    27. 中) 9월 차량 판매(연간)

    28. 日) 8월 핵심기계류수주

    29. 日) 9월 공작기계수주(예비치)

    본문 내용중 저작권등의 문제가 발생할 시에는 알려주시면 해당부분은 삭제 하도록 하겠습니다.

    인포스탁 홈페이지(www.infostock.co.kr)의 자료를 참고 하였습니다.

    #상한가 #코스닥 #코스피 #이슈 #주식 #주식시황 #증권 #급등종목​​ #환율

    728x90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