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22. 11. 11.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주식, 경제 2022. 11. 12. 00:12
    728x90

    상한가 및 급등종목​​​​​​​​​​​​​​​​​​​​​​​​​​​​​​​​​​​

    2022. 11. 11.

    세우글로벌(013000)

    2,225원(+29.74%) 네옴시티 비즈니스 워크숍에 사우디 기업 '사빅(SABIC)' 참여 소식 속 사빅이노베이티브 한국 총판업체로 지속 부각되며 상한가

    에프알텍(073540)

    3,625원(+29.93%) 5G/통신장비 테마 상승 속 휴마시스에 490억원 규모 유형자산 양도 결정 모멘텀 지속 등에 상한가

    카카오 페이(377300)

    59,700원(+29.92%) 카카오 그룹주 상승 속 한국은행 CBDC 2차 사업서 오프라인 지급결제서비스 개발 소식 등에 상한가

    비에이치아이(083650)

    9,250원(+22.19%) 한수원 폴란드 신규 원전 부지 적합성 확인 소식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속 급등

    핀텔(291810)

    11,750원(+20.76%) 사우디, 스마트시티 사업 적극적인 참여 요청 속 스마트시티와 지능형 교통체계 관련 인공지능 영상분석 솔루션 업체인 점이 지속 부각되며 급등

    카카오뱅크(323410)

    27,600원(+20.26%) 카카오 그룹주 상승 속 고객수 2,000만명 돌파 및 코인원 원화 입출금 서비스 모멘텀 지속 등에 급등

    지엔원에너지(270520)

    3,900원(+19.08%) 최대주주 변경 수반 주식양수도 계약 체결 및 지하수법 개정안 발의 속 지열·수열에너지 업체인 점 등이 부각되며 급등

    크래프톤(259960)

    227,000원(+18.23%) 게임/모바일게임 테마 상승 속 칼리스토 프로토콜(TCP) 출시 기대감 등에 급등

    한국선재(025550)

    5,260원(+18.20%) 네옴시티 비즈니스 워크숍에 사우디 기업 '사빅(SABIC)' 참여 소식 속 자회사 기성금속이 사빅을 고객사로 보유하고 있는 점이 지속 부각되며 급등

    F&F홀딩스(007700)

    23,000원(+17.35%) 자회사 F&F, MLB 브랜드 올해 해외 시장 판매액 1조2,000억원 돌파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대창솔루션(096350)

    375원(+16.82%) 정부 '수소경제' 육성 기대감 및 사우디와 수소분야 협력 기대감 지속 속 수소 관련주로 연일 부각되며 급등

    대성창투(027830)

    3,185원(+16.24%) 투자사 시프트업 모바일게임 신작 '승리의 여신: 니케' 글로벌 흥행 소식 속 급등

    카카오(035720)

    58,700원(+15.55%) 인터넷 대표주 테마 및 카카오 그룹주 상승 속 급등

    피에스케이(319660)

    18,400원(+15.36%)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3분기 호실적에 급등

    SGA솔루션즈(184230)

    897원(+14.56%) 사물인터넷 및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한국비엔씨(256840)

    5,890원(+14.37%) 잠정 제조중지 및 회수폐기명령에 대한 집행정지 잠정처분 신청 인용 결정 모멘텀 지속에 급등

    두산테스나(131970)

    31,950원(+13.90%) 반도체 관련주 및 사물인터넷 테마 상승 속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 분석 등에 급등

    알에프텍(061040)

    5,280원(+13.67%) 네옴시티 건설을 위한 5G·인공지능·사물인터넷 분야 협력 기대감 등에 5G 테마 상승 속 급등

    엔씨소프트(036570)

    465,000원(+13.41%) 게임/모바일게임 테마 상승 속 3분기 호실적 등에 급등

    코나아이(052400)

    16,900원(+13.04%) 카카오페이 , 한국은행 CBDC 2차 사업서 오프라인 지급결제서비스 개발 소식 속 협업 사실 부각에 급등

    하이드로리튬(101670)

    20,400원(+12.40%) 리튬가격 고공행진 속 리튬사업 추진 사실 지속 부각에 급등

    에프엔에스테크(083500)

    8,350원(+11.63%) 美 CPI 상승률 둔화 속 Fed 긴축 속도 조절 기대감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세아특수강(019440)

    25,500원(+11.60%) 네옴시티 수주 기대감 지속 등에 네옴시티 관련주 상승 속 급등

    하이브(352820)

    141,000원(+11.46%) 엔터테인먼트 테마 상승 및 BTS RM, 솔로 앨범 12월2일 발표 예정 소식 속 급등

    제주항공(089590)

    11,750원(+11.37%) 中 제로 코로나 정책 완화 소식 등에 중국 소비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솔루스첨단소재(336370)

    38,700원(+11.21%)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中 법인, OLED 소재 양산 돌입 소식에 급등

    LG이노텍(011070)

    319,500원(+11.13%) 확장현실(XR) 최대 수혜주 분석 등에 급등

    카카오게임즈(293490)

    45,600원(+11.08%) 게임/모바일게임 테마 상승, 카카오 그룹주 상승 속 우마무스메 유저 집단 소송 취하 소식 등에 급등

    증시요약 & 마감시황.

    11/11 KOSPI 2,483.16(+3.37%) 美 CPI 상승률 둔화(+), 美 증시 폭등(+),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수(+)

    지난밤 뉴욕증시가 美 CPI 상승률 둔화 속 Fed 금리 인상 속도 조절 기대감 등에 폭등, 유럽 주요국 증시도 급등. 이날 코스피지수는 2,466.90(+64.67P, +2.69%)으로 급등 출발. 오전중 2,463.51(+61.28P, +2.55%)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하기도 했으나 시간이 갈수록 재차 상승폭을 키웠고, 장 후반 2,486.46(+84.23P, +3.51%)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끝에 결국 2,483.16(+80.93P, +3.37%)에서 거래를 마감.

    美 CPI 상승률 둔화 속 Fed 기준금리 인상 속도 조절 기대감 등이 증시 전반에 호재로 작용. 지난밤 나스닥지수는 7% 넘게 폭등했고, 원/달러 환율은 60원 가까이 폭락. 기관은 코스피시장에서 1조원 가까이 순매수했고, 외국인도 7천억 가까이 순매수하면서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지난밤 발표된 美 10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7.7%로 9월 8.2%에서 크게 하락했고, WSJ 집계 시장 예상치인 7.9%도 하회. CPI가 7%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 2월 이후 처음임. 美 CPI 상승률은 지난 6월 1981년 11월 이후 최고치였던 9.1%를 기록한 이후 4개월 연속 둔화. 변동성이 큰 음식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도 시장 예상치를 하회. 10월 근원 CPI는 전년동월대비 6.3% 상승하면서 9월 기록한 1982년 8월 이후 약 40년 만에 가장 높은 6.6%에서 상승률이 둔화됐으며,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 6.5% 상승도 하회. 이에 美 인플레이션이 정점을 지났다는 평가가 제기되면서 Fed의 금리 인상 속도 조절 기대감이 커졌음.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59.10원 폭락한 1,318.4원을 기록. 美 물가상승률 정점 통과 인식 속 Fed 금리 인상 속도 조절 기대감 등으로 달러 인덱스가 급락. 일일 변동폭 기준으로 지난 2008년 11월 이후 14년래 최대를 기록했고, 원/달러 환율은 지난 8월 이후 3개월 여만에 1,310원대로 되돌아갔음.

    일본, 중국, 홍콩, 대만 등 아시아 주요국 지수도 동반 상승.

    수급별로는 기관과 외국인이 각각 9,916억, 6,964억 순매수, 개인은 1조6,629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기관이 7,967계약 순매수,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5,091계약, 1,458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상승. 카카오(+15.55%), NAVER(+9.94%), LG화학(+6.04%), SK하이닉스(+4.94%), 삼성전자(+4.14%), SK(+3.18%), LG에너지솔루션(+3.14%), 삼성SDI(+3.03%), LG전자(+2.83%), 셀트리온(+2.67%), 기아(+2.10%), POSCO홀딩스(+1.60%), 현대차(+1.47%) 등이 상승. 반면, 신한지주(-0.93%), 삼성바이오로직스(-0.77%), 현대모비스(-0.45%) 등은 하락.

    업종별로도 대부분 상승. 서비스(+8.04%), 운수창고(+4.27%), 전기/전자(+3.98%), 증권(+3.82%), 화학(+3.38%), 의료정밀(+3.01%), 건설(+3.00%), 금융(+2.91%), 기계(+2.79%), 섬유/의복(+2.71%), 전기가스(+2.60%), 종이/목재(+2.08%), 철강/금속(+1.95%), 운수장비(+1.85%), 유통(+1.67%), 비금속광물(+1.29%) 등이 상승. 음식료(-0.23%) 만이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483.16P(+80.93P/+3.37%)

    11/11 KOSDAQ 731.22(+3.31%) 美 CPI 상승률 둔화(+), 美 증시 폭등(+),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수(+)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086계약, 3,430계약 순매수, 개인은 5,386계약 순매도.

    美 CPI 상승률 둔화 속 Fed 금리 인상 속도 조절 기대감 등으로 코스닥지수는 3%대 급등 마감. 특히, 나스닥지수는 7%대 폭등했고, 원/달러 환율이 60원 가까이 폭락하면서 투자심리가 크게 개선됐음. 코스닥지수는 지난 9월 이후 약 2개월여 만에 종가기준 730선을 회복.

    카카오게임즈(+11.08%), 펄어비스(+5.28%), 위메이드(+3.98%) 등 게임, 셀트리온헬스케어(+5.01%), HLB(+7.80%), 셀트리온제약(+6.72%) 등 제약/바이오, 에코프로비엠(+3.46%), 엘앤에프(+4.09%) 등 2차전지, 리노공업(+9.46%), 동진쎄미켐(+6.00%), 원익IPS(+4.48%) 등 반도체 관련주 등이 동반 상승.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상승. 카카오게임즈(+11.08%), 리노공업(+9.46%), HLB(+7.80%), 셀트리온제약(+6.72%), 동진쎄미켐(+6.00%), 펄어비스(+5.28%), 셀트리온헬스케어(+5.01%), 알테오젠(+4.45%), CJ ENM(+4.21%), 엘앤에프(+4.09%), 위메이드(+3.98%), 솔브레인(+3.80%), 에코프로비엠(+3.46%), 천보(+3.14%), 에코프로(+2.70%) 등이 상승. 반면, 오스템임플란트(-0.62%), 더블유씨피(-0.20%) 등은 하락.

    업종별로도 대부분 상승. 디지털컨텐츠(+5.18%), 반도체(+5.12%), IT S/W & SVC(+4.27%), 통신장비(+4.25%), IT H/W(+4.21%), 운송장비/부품(+3.87%), 제약(+3.69%), 오락문화(+3.66%), 인터넷(+3.64%), 유통(+3.61%), 소프트웨어(+3.45%), 기타서비스(+3.44%), 종이/목재(+3.40%), IT부품(+3.24%), 화학(+3.22%), 비금속(+3.04%), 섬유/의류(+3.02%) 등이 급등. 운송(-0.25%) 만이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731.22P(+23.44P/+3.31%)

    특징 테마.

    ▷美 CPI 상승률 둔화 속 Fed 긴축 속도 조절 기대감 등에 기술주 중심 나스닥지수가 폭등한 가운데, 반도체/게임/2차전지/인터넷/IT 대표주 등 대표적 기술/성장 테마 동반 상승. 메타버스, NFT, 엔터테인먼트 등 테마도 상승.

    ▷中 제로 코로나 정책 완화 소식에 여행, 항공, 면세점, 카지노, 패션/의류 등 대표적 중국 소비 관련 테마 상승.

    ▷증시 급등 속 ABCP 매입 확대 추진 소식 등에 증권 테마 상승.

    ▷네옴시티 수주 기대감 지속 등에 네옴시티 관련주 테마 상승.

    ▷네옴시티 건설을 위한 5G·인공지능·사물인터넷 분야 협력 기대감 등에 5G(5세대 이동통신)/ 통신장비/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 테마 상승.

    ▷한수원 폴란드 신규 원전 부지 적합성 확인 소식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국내 자동차 업종 주가 낙폭 과대 분석 등에 자동차 대표주/ 자동차부품 테마 상승.

    ▷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 수주 소식 등에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LNG 서플라이체인 투자 증가 및 EPC 기저에 따른 수요 증가 전망 등에 피팅(관이음쇠)/밸브 테마 상승.

    ▷최근 FTX 유동성 위기 속 폭락세를 나타냈던 주요 가상화폐들이 간밤 美 증시 폭등 등에 반등세를 보인 가운데,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두나무 관련주 상승.

    ▷카카오 그룹주 급등 속 한국은행 CBDC 2차 사업서 오프라인 지급결제서비스 개발 소식 등에 카카오페이가 상한가를 기록한 가운데, 전자결제(전자화폐 등),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테마 상승. 카카오뱅크 급등 속 카카오뱅크 관련주 상승.

    ▷美타임지, 올해 최고 발명품 삼성 갤럭시 S22 울트라 선정 소식 속 갤럭시부품주, 스마트폰, 휴대폰부품 테마 상승.

    ▷이 외 증시 급등 속 대부분 테마가 상승한 가운데, 웹툰, SNS, 음원/음반, 핀테크, 보톡스, 아이폰, 코로나19(모더나), LNG, 일자리(취업), 야놀자 관련주, 블록체인, 마이크로바이옴, 백신여권, 무선충전기술, 인터넷은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증강현실(AR), 터치패널, OLED, 캐릭터상품, 모바일콘텐츠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일부 편의점 테마만 하락세를 기록.

    국내 환율

    주말의 이슈&테마

    11월 12일 토요일

    1. 네오펙트, 현저한 시황변동에 대한 조회공시 요구에 대한 답변 관련 재공시 기한

    2. 오가닉티코스메틱 [ 262 상향 (+1.55%) ] 보호예수 해제

    3. 초록뱀컴퍼니 [ 602 상향 (+1.35%) ] 보호예수 해제

    4. 메디콕스 [ 10,450 상향 (+2.96%) ] 보호예수 해제

    5. 하이딥 보호예수 해제

    11월 13일 일요일

    1. 한미일 정상회담 개최 예정(현지시간)

    2. 신라젠 [ 9,660 하향 (-2.33%) ] 보호예수 해제

    11월 14일 월요일

    1. 윤성에프앤씨 신규상장 예정

    2. 美·中 정상, 첫 대면 회담(현지시간)

    3. 정부, 서울·경기 4곳 제외 규제지역 해제 예정

    4. 현대차 [ 172,000 상향 (+1.47%) ] , 7세대 신형 그랜저(GN7) 출시 예정

    5. 현대모비스 [ 219,500 하향 (-0.45%) ] 토론공시, 생산전문 통합계열사 출범 예정

    6. 의료기기 전시회 MEDICA 개최 예정(현지시간)

    7. OPEC 월간 보고서(현지시간)

    8. 단백질 항체 엔지니어링 서밋(PEGS) Europe 개최(현지시간)

    9. CJ [ 77,100 상향 (+1.85%) ] 실적발표 예정

    10. CJ제일제당 [ 415,500 하향 (-1.54%) ] 실적발표 예정

    11. 금호건설 [ 6,630 상향 (+2.16%) ] 실적발표 예정

    12. 인벤티지랩 공모청약

    13. 미래에셋드림스팩1호 공모청약

    14. 삼보모터스 [ 6,100 상향 (+1.33%) ] 추가상장(CB전환)

    15. 다이나믹디자인 [ 4,615 하향 (-4.65%) ] 추가상장(CB전환)

    16. 에스비비테크 [ 24,750 상향 (+0.20%) ] 추가상장(CB전환)

    17. 알테오젠 [ 38,750 상향 (+4.45%) ] 추가상장(무상증자)

    18. 오에스피 [ 6,730 하향 (-1.61%) ] 보호예수 해제

    19. 유로존) 9월 산업생산(현지시간)

    본문 내용중 저작권등의 문제가 발생할 시에는 알려주시면 해당부분은 삭제 하도록 하겠습니다.

    인포스탁 홈페이지(www.infostock.co.kr)의 자료를 참고 하였습니다.

    #상한가 #코스닥 #코스피 #이슈 #주식 #주식시황 #증권 #급등종목​​ #환율

     
    728x90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