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 11. 16.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주식, 경제 2022. 11. 16. 18:25728x90
상한가 및 급등종목
2022. 11. 16.
STX(011810)
6,700원(+29.84%) 태백시와 희소 금속 가공 산단 추진 모멘텀 지속에 상한가
모아데이타(288980)
2,670원(+29.93%) 카카오 먹통 방지법 국회 법안소위 통과 소식 속 수혜주로 부각되며 상한가
부산주공(005030)
821원(+29.91%) 수소차 테마 상승 속 3분기 영업이익 흑자전환 모멘텀 지속에 상한가
핸즈코퍼레이션(143210)
4,150원(+29.89%) 1,697억원 규모 자동차용 알루미늄 휠 공급계약 체결에 상한가
플라즈맵(405000)
7,010원(+20.86%) 호주회사와 216.01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급등
피씨엘(241820)
13,900원(+14.88%) 모로코 등 아프리카 수출 기대감 속 스위스 OKII 장비 수출 계약 진행 소식 등에 급등
원바이오젠(307280)
1,785원(+14.42%) 3분기 호실적에 급등
KH 건설(226360)
535원(+14.32%) 우크라이나 재건 수혜 기대감 지속 부각 등에 일부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상승 속 급등
데이타솔루션(263800)
6,070원(+14.10%) 카카오 먹통 방지법 국회 법안소위 통과 소식 속 수혜주로 부각되며 급등
애드바이오텍(179530)
4,255원(+13.77%) 폴란드 미사일 피격, 지정학적 리스크 부각 등에 사료 테마 상승 속 급등
평화홀딩스(010770)
4,900원(+13.16%) 사우디 국부펀드와 네옴시티 관련 그린수소 플랜트 건설 추진 프로젝트 MOU 체결 예정 소식 등에 수소차 테마 상승 속 급등
윤성에프앤씨(372170)
47,250원(+13.04%) IRA 개정 논의 기대감 속 세계 최초 4,000ℓ급 믹싱 시스템 개발 이력 및 주요 2차전지/전기차 고객사 확보 이슈 재부각에 급등
대주산업(003310)
2,945원(+12.84%) 폴란드 미사일 피격, 지정학적 리스크 부각 등에 사료 테마 상승 속 급등
예스티(122640)
9,650원(+12.34%) 한국남부발전 등 5개사, 사우디 국부펀드와 네옴시티 관련 그린수소 플랜트 건설 추진 프로젝트 MOU 체결 예정 소식 속 한국남부발전 등과 국내 최대 그린수소 생산 실증사업 국책과제 진행 사실 부각에 급등
이엠앤아이(083470)
7,220원(+11.08%) 3분기 영업이익 흑자전환에 모멘텀 지속에 급등
동아화성(041930)
12,400원(+10.71%) 사우디 국부펀드와 네옴시티 관련 그린수소 플랜트 건설 추진 프로젝트 MOU 체결 예정 소식 등에 수소차 테마 상승 속 급등
미래산업(025560)
11,900원(+10.19%)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3분기 사상 최대 실적 달성 모멘텀 지속에 급등
증시요약 & 마감시황.
11/16 KOSPI 2,477.45(-0.12%) 폴란드 지정학적 리스크 부각(-), 기관 순매도(-), 美 인플레이션 압력 둔화 속 개인/외국인 순매수(+)
밤사이 뉴욕증시가 인플레이션 정점 통과 기대감 등에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대부분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2,487.00(+6.67P, +0.27%)으로 상승 출발. 장중 고점으로 출발한 지수는 이내 하락세로 돌아선 뒤 낙폭을 확대. 오전 중 2,446.79(-33.54P, -1.35%)까지 밀려나며 장중 저점을 형성. 점차 낙폭을 만회하다 오후 들어 강보합세로 돌아서기도 했지만, 재차 하락 전환. 장후반 2,470선 부근에서 하락세를 이어가다 일부 낙폭을 만회해 결국 2,477.45(-2.88P, -0.12%)로 장을 마감.
美 인플레이션 정점 통과 기대감에도 폴란드 미사일 피격 소식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가 부각되며 지수는 약보합 마감. 지정학적 리스크 속 원/달러 환율이 재차 상승한 점도 부담으로 작용. 기관은 사흘째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다만, 장중 지정학적 리스크가 일부 완화된 가운데, 개인과 외국인이 순매수하며 낙폭은 제한된 모습.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이 상승한 반면, 중국, 대만, 홍콩이 하락하는 등 대부분 하락.
수급별로는 기관이 2,091억 순매도,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1,743억, 411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반대로 개인과 외국인이 1,080계약, 1,160계약 순매도, 기관은 2,334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하락 종목이 우세. 셀트리온(-4.52%), 포스코케미칼(-4.45%), 삼성바이오로직스(-2.87%), 현대모비스(-2.04%), 현대차(-1.43%), NAVER(-1.30%), POSCO홀딩스(-1.20%), 기아(-1.02%), LG화학(-0.42%), 신한지주(-0.41%), SK이노베이션(-0.28%), 카카오(-0.17%), SK하이닉스(-0.11%) 등이 하락. 반면, 삼성물산(+1.22%), KB금융(+1.01%), LG에너지솔루션(+0.67%), 삼성SDI(+0.56%), 삼성전자(+0.48%), SK(+0.46%) 등이 상승.
업종별로는 등락이 엇갈림. 전기가스업(+1.24%), 음식료업(+0.76%), 기계(+0.76%), 유통업(+0.73%), 금융업(+0.37%), 전기전자(+0.34%), 보험(+0.27%), 종이목재(+0.17%) 등이 상승. 반면, 비금속광물(-2.93%), 의약품(-2.91%), 운수창고(-1.47%), 의료정밀(-1.45%), 통신업(-0.86%), 운수장비(-0.59%), 섬유의복(-0.48%), 화학(-0.37%), 증권(-0.36%)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477.45P(-2.88P/-0.12%)
11/16 KOSDAQ 743.10(-0.25%) 폴란드 지정학적 리스크 부각(-), 외국인 순매도(-), 美 인플레이션 압력 둔화 속 개인 순매수(+)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1,548억 순매도, 개인은 1,964억 순매수. 기관은 0억 순매매.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등락이 엇갈림. 에스엠(+5.29%), 스튜디오드래곤(+3.76%), JYP Ent.(+3.61%), 알테오젠(+2.03%), 리노공업(+1.95%), 솔브레인(+1.78%), 펄어비스(+1.14%), 엘앤에프(+0.48%), 카카오게임즈(+0.34%), 천보(+0.15%) 등이 상승. 반면, 씨젠(-4.65%), 에코프로비엠(-3.52%), 더블유씨피(-3.52%), HLB(-2.96%), 셀트리온헬스케어(-2.78%), 셀트리온제약(-2.77%), 에코프로(-2.26%), CJ ENM(-1.07%), 동진쎄미켐(-0.43%) 등은 하락.
업종별로는 하락 업종이 우세. 종이/목재(-2.30%), 일반전기전자(-1.77%), 음식료/담배(-1.64%), 제약(-1.29%), 운송장비/부품(-1.21%), 유통(-1.21%), 통신서비스(-0.87%), 금융(-0.85%), 출판/매체복제(-0.81%), 통신방송서비스(-0.76%), 방송서비스(-0.71%), 비금속(-0.71%), 제조(-0.71%) 업종 등이 하락. 반면, 오락/문화(+2.63%), 금속(+1.40%), 운송(+1.12%), 건설(+1.11%), 인터넷(+0.84%), 섬유/의류(+0.77%), 정보기기(+0.74%), 반도체(+0.68%), 기타 제조(+0.54%), IT H/W(+0.45%)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743.10P(-1.86P/-0.25%)
특징 테마.
▷사우디 국부펀드와 네옴시티 관련 그린수소 플랜트 건설 추진 프로젝트 MOU 체결 예정 소식 등에 수소차/네옴시티 관련주 상승.
▷폴란드 미사일 피격, 지정학적 리스크 부각 등에 사료/농업/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등 테마 상승.
▷올해까지 은행 NIM 긍정적 흐름 전망 등에 은행 테마 상승.
▷한국-영국 원전시장 상호협력 소식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한한령 해제 전망에 따른 수혜 기대감 및 넷플릭스 투자의견 상향 소식 등에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국내서 3번째 원숭이두창 확진자 발생 소식에 일부 원숭이두창 테마 상승.
▷전기차 배터리 핵심원료인 니켈 재고량 작년 절반 수준 급감 소식 등에 일부 니켈 관련주 상승.
▷씨에스윈드, 3조8,758억원(매출액 대비 약 322.1%) 규모 풍력타워 공급계약 체결 소식 등에 풍력에너지 테마 상승.
▷美 태양광 발전 수요 증가 기대감 지속 등에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경기도 평택·용인 반도체 단지 전력·용수 인프라 구축 목적 등의 1,000억원 규모 반도체 설비투자 인프라 지원 예산 국회 산자위 통과 소식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이 외에 조선기자재, 피팅(관이음쇠)/밸브, 전력설비, 엔터테인먼트, OLED, 철도, 패션/의류, 항공/저가 항공사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주요 진단키트 업체, 실적 부진 지속 전망 등에 코로나19(진단키트) 테마 하락.
▷유전자 치료제/분석, 면역항암제, 바이오시밀러, 제약업체, mRNA 등 제약/바이오 관련 테마 하락.
▷이 외에 자동차 대표주, 석유화학, 국내 상장 중국기업, MLCC, 보톡스, 야놀자 관련주, 창투사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국내 환율
내일의 이슈&테마
11월 17일 목요일
1. 티에프이 신규상장 예정
2. 티쓰리엔터테인먼트 신규상장 예정
3. 필립 제퍼슨 연준 이사 연설(현지시간)
4. 미셸 보우만 연준 이사 연설(현지시간)
5. 제임스 불라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6. 英 예산안 발표 예정(현지시간)
7. 대학수학능력시험
8.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 방한 예정
9. 한·네덜란드 정상회담 예정
10. 스페인 총리, 방한 예정
11. 국내 유업체, 우윳값 인상 예정
12. 지스타(G-STAR) 2022
13.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 발표
14. 월간 재정동향
15. 비보존 헬스케어 상호변경(비보존 제약)
16. 대신밸런스13호스팩 공모청약
17. 바른전자 [ 5,180 하향 (-1.71%) ] 토론공시 추가상장(유상증자)
18. 알파홀딩스 [ 1,090 하향 (-1.80%) ] 토론공시 추가상장(유상증자)
19. 이원컴포텍 [ 8,880 하향 (-5.93%) ] 토론공시 추가상장(CB전환)
20. 셀리버리 [ 14,750 하향 (-1.34%) ] 토론공시 추가상장(주식전환)
21. 美) 11월 캔자스 연준 제조업지수(현지시간)
22. 美) 10월 주택착공, 건축허가(현지시간)
23. 美)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현지시간)
24. 美) 11월 필라델피아 연준 제조업지수(현지시간)
25. 美)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실적발표(현지시간)
26. 美) 메이시스 실적발표(현지시간)
27. 美) 갭(GAP) 실적발표(현지시간)
28. 유로존) 9월 건설생산(현지시간)
29. 유로존)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확정치(현지시간)
30. 日) 10월 무역수지(예비치)
본문 내용중 저작권등의 문제가 발생할 시에는 알려주시면 해당부분은 삭제 하도록 하겠습니다.
인포스탁 홈페이지(www.infostock.co.kr)의 자료를 참고 하였습니다.
728x90'주식,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11. 18.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0) 2022.11.18 2022. 11. 17.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1) 2022.11.17 2022. 11. 15.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0) 2022.11.15 2022. 11. 14.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0) 2022.11.14 2022. 11. 11.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0) 2022.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