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 12. 14.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주식, 경제 2022. 12. 14. 17:20728x90
상한가 및 급등종목
2022. 12. 14.
KPX생명과학(114450)
5,880원(+29.94%) 中, 코로나 치료제 팍스로비드 소매 허용 소식 등에 코로나19(화이자) 테마 상승 속 상한가
중앙디앤엠(051980)
1,350원(+29.81%)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개정에 따른 관리종목 해제 모멘텀 지속에 상한가
아우딘퓨쳐스(227610)
3,930원(+26.57%) 화장품 테마 상승 속 잇따른 자금 조달 소식 등에 급등
경남제약(053950)
2,695원(+25.64%) 중국 발열 환자 증가 소식 속 의약품 사재기 모멘텀 지속 등에 제약업체 테마 상승 속 급등
서울제약(018680)
5,910원(+21.98%) 中, 코로나 치료제 팍스로비드 소매 허용 소식 등에 코로나19(화이자) 테마 상승 속 급등
원풍물산(008290)
910원(+18.95%)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개정에 따른 관리종목 해제 모멘텀 지속에 급등
나우IB(293580)
11,500원(+18.56%) 액면분할 추진 및 배당계획 발표 모멘텀 지속에 급등
핑거스토리(417180)
9,800원(+15.70%) 웹툰 IP 일본 흥행 기대감 등에 웹툰 테마 상승 속 급등
디앤씨미디어(263720)
20,600원(+15.41%) 웹툰 IP 일본 흥행 기대감 등에 웹툰 테마 상승 속 급등
아이큐어(175250)
3,555원(+14.13%) 제약업체 테마 상승 속 무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에 급등
서플러스글로벌(140070)
3,900원(+14.04%) 반도체 관련주 상승 및 반도체 장비 클러스터 준공식 개최 속 공유팹 사업 본격화 기대감 지속에 급등
에이디칩스(054630)
465원(+13.41%) 반도체 관련주 상승 속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개정에 따른 관리종목 해제 모멘텀 지속에 급등
셀루메드(049180)
5,700원(+12.43%) mRNA(메신저 리보핵산) 테마 상승 속 교체형 배터리 장착 전기이륜차 출시 준비 소식에 급등
윤성에프앤씨(372170)
44,800원(+12.42%)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182.94억원 규모 2차전지 믹싱시스템 공급계약 체결에 급등
미스터블루(207760)
7,960원(+12.11%) 웹툰 및 모바일게임 테마 상승 속 급등
플레이디(237820)
5,540원(+10.80%) 종합 광고대행사로 변모 기대감 속 급등
씨티케이(260930)
6,020원(+10.46%) 화장품 테마 상승 및 계열사 씨티케이인베스트먼트 지분 전량 처분 결정 속 급등
팬엔터테인먼트(068050)
5,320원(+10.03%) 글로벌 OTT 한국 드라마 투자 확대 기대감 등에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속 급등
증시요약 & 마감시황.
12/14 KOSPI 2,399.25(+1.13%) 美 CPI 둔화 속 인플레이션 우려 완화(+),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수(+)
밤사이 뉴욕증시가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둔화 등에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는 2,380.81(+8.41P, +0.35%)로 상승 출발. 장초반 2,379.44(+7.04P, +0.30%)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상승폭을 키워 오전 장중 2,397선까지 올라서기도 함. 이후 일부 상승폭을 축소해 2,390선을 하회하기도 했지만, 오후 장중 재차 상승폭을 확대하는 모습. 장마감까지 상승폭을 키운 지수는 장 막판 2,400.18(+27.78P, +1.17%)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뒤 2,399.25(+26.85P, +1.13%)로 장을 마감.
대표적 인플레이션 지표인 美 CPI가 둔화된 모습을 보이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완화된 점이 호재로 작용.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외국인은 선물시장에서도 1,000계약 가까이 순매수. 원/달러 환율이 9원 넘게 하락하며 1,300원선 아래로 내려온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일본, 중국, 대만, 홍콩 등 아시아 주요국 증시도 일제히 상승.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200억, 2,278억 순매수, 개인은 4,523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930계약 순매수, 기관과 개인은 각각 64계약, 110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종목이 상승. 포스코케미칼(+3.75%), 삼성SDI(+3.73%), LG화학(+3.69%), 현대모비스(+2.99%), 기아(+2.56%), 현대차(+2.51%), 삼성물산(+2.11%), 삼성바이오로직스(+2.07%), 셀트리온(+1.68%), SK(+1.48%), 삼성전자(+1.34%), 카카오(+0.86%), LG에너지솔루션(+0.40%), SK이노베이션(+0.29%), NAVER(+0.26%) 등이 상승. 반면, 신한지주(-0.78%), KB금융(-0.75%), SK하이닉스(-0.61%), POSCO홀딩스(-0.17%) 등은 하락.
업종별로도 대부분 업종이 상승. 비금속광물(+2.39%), 기계(+2.22%), 의약품(+1.89%), 운수장비(+1.81%), 화학(+1.74%), 서비스업(+1.56%), 제조업(+1.41%), 전기전자(+1.27%), 건설업(+1.23%) 등이 큰 폭으로 상승했고, 증권(+0.85%), 음식료업(+0.74%), 유통업(+0.60%), 전기가스업(+0.51%), 섬유의복(+0.41%) 업종 등이 상승. 반면, 종이목재(-0.98%), 통신업(-0.60%), 의료정밀(-0.40%), 운수창고(-0.32%) 업종만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399.25P(+26.85P/+1.13%)
12/14 KOSDAQ 729.00(+1.94%) 美 CPI 둔화 속 인플레이션 우려 완화(+),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수(+)
美 CPI 둔화 속 인플레이션 우려가 완화되면서 투자 심리를 개선 시키는 모습.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외국인은 3거래일만에 순매수, 기관은 4거래일 연속 순매수. 특히, 반도체, 2차전지, 게임, 엔터, 메타버스 등 기술/성장 관련주들이 강세를 나타냈고, 제약/바이오, 콘텐츠 관련주도 강세.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827억, 1,093억 순매수, 개인은 2,788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종목이 상승. 에스티팜(+5.84%), 에코프로(+5.76%), 동진쎄미켐(+4.40%), 펄어비스(+3.91%), 알테오젠(+3.41%), 천보(+3.40%), 셀트리온제약(+3.32%), 리노공업(+3.30%), 솔브레인(+3.11%), 카카오게임즈(+3.11%), JYP Ent.(+2.35%), 엘앤에프(+2.26%), 에코프로비엠(+2.15%), 셀트리온헬스케어(+1.53%) 등이 상승. 반면, HLB(-0.91%), 스튜디오드래곤(-0.23%) 등이 하락했고, CJ ENM은 보합 마감.
업종별로는 모든 업종이 상승. 디지털컨텐츠(+3.66%), 반도체(+3.13%), IT S/W & SVC(+2.82%), 비금속(+2.62%), IT H/W(+2.57%), 화학(+2.51%), 금융(+2.42%), 통신장비(+2.38%), 소프트웨어(+2.31%), 제약(+1.99%), 종이/목재(+1.96%), IT 부품(+1.95%) 업종 등의 강세가 두드러짐.
마감 지수 : KOSDAQ 729.00P(+13.84P/+1.94%)
특징 테마.
▷중국 발열 환자 증가 소식 속 의약품 사재기 모멘텀 지속 등에 코로나19 관련주/제약업체 테마 상승.
▷웹툰 IP 일본 흥행 기대감 및 글로벌 OTT 한국 드라마 투자 확대 기대감 등에 웹툰/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韓/美 자율주행 표준 협력체계 구축 업무협약 체결 소식에 자율주행차 테마 상승.
▷2차전지 장기 성장성 불변 분석 등에 2차전지 테마 상승.
▷모더나, mRNA 암 백신 흑색종 환자 대상 임상2상서 효과 발표 소식 등에 mRNA(메신저 리보핵산)/ 코로나19(모더나) 테마 상승.
▷美 CPI 둔화에 따른 美 기술주 상승 등에 반도체/인터넷/IT 대표주/게임 테마 상승.
▷中 코로나 봉쇄 완화에 따른 업황 개선 기대감 등에 석유화학 테마 상승.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도입 잠정 합의 소식 등에 태양광/풍력에너지 등 신재생에너지 테마 상승.
▷中 코로나19 방역 정책 완화에 따른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화장품, 면세점, 엔터테인먼트, 음원/음반 등 중국 소비관련주 상승.
▷XR디스플레이산업 협의체 출범 및 글로벌 VR 시장 확대 기대감 등에 AR(증강현실)/VR(가상현실) 테마 상승.
▷이 외에 콜드체인(저온 유통), LED장비, 마리화나(대마),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자동차 대표주, 마이크로 LED, 창투사, 일자리(취업), PCB(FPCB 등)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은행권 내년 대출 감소 전망 및 기업 대출 부실화 우려 등에 은행 테마 하락.
▷경기 침체에 따른 글로벌 컨테이너 운임 2년 전 수준 회귀 및 해운업 다운사이클 본격화 우려 등에 해운 테마 하락.
▷이 외에 항공/저가 항공사, 골판지 제조, 홈쇼핑, 렌터카, 통신, 편의점, 건설기계, 도시가스 등의 테마가 하 락률 상위를 기록.
국내 환율
내일의 이슈&테마
12월 15일 목요일
1. 美) 11월 소매판매(현지시간)
2. 美) 11월 산업생산(현지시간)
3. EU 정상회의 개최 예정(현지시간)
4. 尹 대통령, 국정과제 점검회의 주재 예정
5. 한국방송기자클럽 초청 토론회 예정
6. 삼성전자, DX(디바이스경험)부문 글로벌전략회의 예정
7. 카드사 연합 '오픈페이' 서비스 예정
8. 카페24 [ 11,450 상향 (+0.44%) ], NFT 이커머스 성공 전략 웨비나 개최 예정
9. 동서 [ 21,350 상향 (+1.18%) ]식품, 맥심 커피믹스 제품 출고 가격 인상 예정
10. 11월 수출입물가지수
11. 3분기 기업경영분석
12. 2021년 건설업조사 결과
13. 월간 재정동향
14. 신영스팩9호 공모청약
15. 미래에셋비전스팩2호 공모청약
16. 이베스트스팩5호 [ 2,030 변화없음 (0.00%) ] 정리매매(~12월23일)
17. 하이트론 [ 2,470 변화없음 (0.00%) ] 거래정지(주식분할 및 감자)
18. 하이소닉 [ 5,650 변화없음 (0.00%) ] 추가상장(유상증자)
19. 형지I&C 추가상장(유상증자)
20. 뉴로메카 [ 15,050 상향 (+0.33%) ] 추가상장(주식전환)
21. HLB생명과학 [ 11,250 상향 (+1.35%) ] 추가상장(BW행사)
22. 스맥 [ 1,830 상향 (+3.10%) ] 추가상장(CB전환)
23. 광무 [ 3,020 상향 (+1.17%) ] 추가상장(CB전환)
24. 바이온 [ 1,320 상향 (+4.76%) ] 추가상장(CB전환)
25. CJ [ 80,700 상향 (+0.25%) ] CGV 추가상장(CB전환)
26. 잉크테크 [ 5,280 상향 (+0.96%) ] 보호예수 해제
27. 와이투솔루션 [ 607 상향 (+0.33%) ] 보호예수 해제
28. 하이트론 보호예수 해제
29. 아스타 [ 4,155 하향 (-0.12%) ] 보호예수 해제
30. 美) 10월 기업재고(현지시간)
31. 美) 12월 필라델피아 연준 제조업지수(현지시간)
32. 美) 12월 뉴욕주 제조업지수(현지시간)
33. 美)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현지시간)
34. 유로존) 유럽중앙은행(ECB) 기준금리결정(현지시간)
35. 영국) 영란은행(BOE) 기준금리결정(현지시간)
36. 中) 11월 주택가격지수
37. 中)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 발표 예정
38. 中) 11월 소매판매
39. 中) 11월 산업생산
40. 中) 11월 고정자산투자
41. 中) 11월 실업률
42. 日) 10월 3차산업지수
43. 日) 10월 소매판매(수정치)
44. 日) 11월 무역수지(예비치)
본문 내용중 저작권등의 문제가 발생할 시에는 알려주시면 해당부분은 삭제 하도록 하겠습니다.
인포스탁 홈페이지(www.infostock.co.kr)의 자료를 참고 하였습니다.
728x90'주식,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12. 19.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0) 2022.12.19 2022. 12. 15.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1) 2022.12.15 2022. 12. 13.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0) 2022.12.13 2022. 12. 12.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0) 2022.12.12 2022. 12. 09.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0) 2022.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