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 12. 21.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주식, 경제 2022. 12. 21. 17:38728x90
상한가 및 급등종목
2022. 12. 21.
멕아이씨에스(058110)
7,170원(+29.89%) 中 코로나19 감염자 폭증에 따른 의료 자원 확충 소식 등에 의료기기 테마 상승 속 상한가
코이즈(121850)
3,300원(+24.29%) 2차전지 양극재용 나노금속산화물 소재 사업 순항 모멘텀 지속에 급등
하이로닉(149980)
7,800원(+19.08%) 中 코로나19 감염자 폭증에 따른 의료 자원 확충 소식 등에 의료기기 테마 상승 속 급등
하나제약(293480)
18,000원(+15.38%) 中 코로나19 감염자 폭증 속 감기약 국내 생산 원료 공급망 보유 사실 부각에 급등
미스터블루(207760)
4,115원(+14.78%) 무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 모멘텀 지속에 급등
제일파마홀딩스(002620)
12,300원(+14.42%) 中 코로나19 감염자 폭증에 따른 의료 자원 확충 소식 등에 코로나19 관련주 상승 속 급등
스튜디오산타클로스(204630)
2,170원(+13.02%) 中 안후이위성TV, 한국 드라마 방영 예고 소식에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속 급등
인피니트헬스케어(071200)
5,880원(+12.64%) 내년 비대면 진료 제도화 기대감 등에 U-Healthcare(원격진료) 테마 상승 속 급등
오에스피(368970)
6,360원(+12.17%) 바우와우코리아 지분 49.86% 신규 양수 결정에 급등
화승엔터프라이즈(241590)
10,200원(+11.84%) 호실적 지속 전망 등에 급등
남광토건(001260)
9,840원(+11.56%) 동사 참여 대우건설 컨소시엄, GTX-B 민자구간 사업자로 사실상 확정 소식에 급등
포스코엠텍(009520)
9,200원(+10.18%) 포스코그룹, 리튬 사업 투자 본격화에 포스코 그룹주 상승 속 급등
증시요약 & 마감시황.
12/21 KOSPI 2,328.95(-0.19%) 외국인·개인 순매도(-), 12월1~20일 수출 부진(-), 기관 순매수(+), 美 증시 상승(+)
지난밤 뉴욕증시가 저가매수세 유입 등에 소폭 상승, 유럽 주요국 증시는 혼조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346.39(+13.10P, +0.56%)로 상승 출발. 장 초반 2,347.00(+13.71P, +0.59%)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이내 하락 전환했고, 2,325.78(-7.51P, -0.32%)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 오전중 상승 전환해 2,343선까지 상승하기도 했으나 시간이 갈수록 상승폭을 반납. 오후 들어 재차 하락 전환해 2,326선까지 낙폭을 키운 후 약보합세를 보인 끝에 결국 2,328.95(-4.34P, -0.19%)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과 개인 순매도 등에 코스피지수는 5거래일 연속 하락. 외국인은 사흘째 순매도를 지속. 금융투자를 중심으로한 기관이 1,800억 넘게 순매수하며 지수하락을 방어.
일본, 중국이 하락했고, 홍콩, 대만이 상승하는 등 아시아 주요국 지수는 등락이 엇갈림.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1,194억, 739억 순매도, 기관은 1,835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이 4,807계약 순매도, 기관과 개인은 각각 3,053계약, 1,693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 LG에너지솔루션(-2.15%), LG화학(-1.74%), 삼성SDI(-1.71%), KB금융(-1.13%), 삼성전자(-1.02%), 현대차(-0.64%), 기아(-0.64%), SK(-0.50%), SK하이닉스(-0.38%), NAVER(-0.28%), 삼성바이오로직스(-0.24%) 등이 하락. 반면, POSCO홀딩스(+2.31%), 삼성생명(+1.23%), 셀트리온(+1.13%), 현대모비스(+0.50%), 삼성물산(+0.42%), 신한지주(+0.40%) 등은 상승.
업종별로는 대부분 상승. 음식료(+3.96%), 섬유/의복(+1.89%), 전기가스(+1.83%), 의료정밀(+1.82%), 철강/금속(+1.13%), 의약품(+0.84%), 유통(+0.80%), 보험(+0.74%), 금융(+0.30%), 증권(+0.29%), 운수창고(+0.25%) 등이 상승. 반면, 전기/전자(-1.19%), 화학(-0.49%), 비금속광물(-0.49%), 제조(-0.45%), 건설(-0.04%)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328.95P(-4.34P/-0.19%)
12/21 KOSDAQ 705.70(+0.37%)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수(+), 美 증시 상승(+)
최근 하락에 따른 저가매수세 유입 등으로 코스닥지수는 5거래일만에 반등.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수하면서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외국인은 4거래일만에 순매수 전환.
中 한한령 해제 기대감 지속 등에 스튜디오산타클로스(+13.02%), 버킷스튜디오(+9.01%), 애니플러스(+7.62%), CJ ENM(+7.38%), 팬엔터테인먼트(+7.09%) 등 영상콘텐츠 테마가 상승. 中 코로나19 감염자 폭증에 따른 의료 자원 확충 소식 등에 멕아이씨에스(+29.89%), 하이로닉(+19.08%), 메디아나(+9.56%) 등이 상승했고, 셀트리온헬스케어(+1.24%), 셀트리온제약(+3.23%), 에스티팜(+3.24%) 등 시총 상위 제약/바이오 관련주도 상승.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64억, 693억 순매수, 개인은 978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상승. CJ ENM(+7.38%), 스튜디오드래곤(+5.62%), 휴젤(+5.55%), 에스티팜(+3.24%), 셀트리온제약(+3.23%), 오스템임플란트(+2.94%), 알테오젠(+1.90%), 에코프로(+1.56%), 셀트리온헬스케어(+1.24%), 카카오게임즈(+0.82%), 펄어비스(+0.69%) 등이 상승. 반면, 엘앤에프(-1.95%), 천보(-1.53%), HLB(-1.28%), 에스엠(-0.64%), JYP Ent.(-0.15%) 등은 하락.
업종별로는 상승이 다소 우세. 방송서비스(+4.38%), 통신방송서비스(+3.84%), 통신서비스(+2.63%), 제약(+1.94%), 의료/정밀기기(+1.81%), 오락문화(+1.35%), 섬유/의류(+1.29%), 기타서비스(+0.78%), 유통(+0.73%), 출판/매체복제(+0.60%), 음식료/담배(+0.56%), 금융(+0.56%), 제조(+0.44%) 등이 상승. 반면, 기타제조(-3.69%), 운송장비/부품(-1.29%), IT부품(-0.87%), 운송(-0.85%), 기계/장비(-0.60%), IT H/W(-0.43%), 종이/목재(-0.38%), 화학(-0.24%), 비금속(-0.23%), 반도체(-0.22%), 일반전기전자(-0.11%)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705.70P(+2.57P/+0.37%)
특징 테마.
▷中 코로나19 감염자 폭증에 따른 의료 자원 확충 소식 등에 코로나19 관련주/ 의료기기 등 테마 상승.
▷내년 비대면 진료 제도화 기대감 등에 U-Healthcare(원격진료) 테마 상승.
▷中 안후이위성TV, 한국 드라마 방영 예고 소식에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올해 하반기 후판 가격 인하 소식에 조선 테마 상승.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미국 방문 및 바이든 대통령과의 면담 추진 소식 속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상승. 건설기계, 모듈러주택 테마 등도 상승.
▷중국 등 글로벌 의약품 품귀현상 지속 속 제약업체 테마 상승.
▷글로벌 중앙은행 긴축 기조 지속 등에 은행, 보험 등 금융 테마 상승.
▷가격 인상 효과 등에 따른 내년 실적 성장 기대감 부각 속 음식료업종 테마 상승.
▷이 외 미용기기, 수산, 홈쇼핑, 바이오시밀러, 환율하락 수혜, 애플페이, 겨울, 원숭이두창, 웹툰, NI(네트워크통합), 전선, 엔터테인먼트, 도시가스, 보톡스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美 테슬라 주가 급락 여파 등에 2차전지/전기차 테마 하락.
▷삼성전자·SK하이닉스 실적 부진 우려 지속, 12월1~20일 반도체 수출 부진 소식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장비, 반도체 재료/부품 등 반도체 테마 하락.
▷경기 둔화에 따른 자동차 수요 감소 우려 및 美 IRA 우려 지속 등에 자동차 대표주/ 자동차부품 테마 하락.
▷美 최대 비트코인 채굴사 코어사이언티픽, '챕터11' 파산보호 신청 소식 속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하락.
▷글로벌 긴축 우려 지속 등에 인터넷 대표주, 게임, 메타버스, NFT,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 기술/성장 테마 하락.
▷이 외 마리화나(대마), 리튬 관련주, 캐릭터상품, 스마트카, 전기자전거, 터치패널, 희귀금속(희토류 등), 무선충전기술, 전력저장장치(ESS), 폴더블폰, 통신장비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국내 환율
내일의 이슈&테마
12월 22일 목요일
1. 바이오노트 신규상장 예정
2. 美) 3분기 GDP 확정치(현지시간)
3. 韓·中 공동지수 기초 ETF 4종 상장 예정
4. 아시아나항공 [ 13,350 상향 (+1.52%) ] 하와이 노선 증편 예정
5. 삼성전자 [ 58,000 하향 (-1.02%) ] DS(디바이스솔루션)부문 글로벌전략회의 예정
6. 카카오게임즈 [ 43,250 상향 (+0.82%) ] 서브컬처 신작 '에버소울' 공개 예정
7. 11월 생산자물가지수
8. 비엔케이스팩1호 신규상장 예정
9. 제넨바이오 [ 1,985 하향 (-2.22%) ] 추가상장(CB전환)
10. 휴맥스 [ 3,365 상향 (+0.60%) ] 추가상장(CB전환)
11. 대양금속 [ 3,220 하향 (-0.31%) ] 추가상장(CB전환)
12. 프리시젼바이오 보호예수 해제
13. 노블엠앤비 [ 2,460 상향 (+2.29%) ] 보호예수 해제
14. 덕산네오룩스 [ 38,800 하향 (-1.52%) ] 보호예수 해제
15. 인벤티지랩 [ 10,850 하향 (-3.13%) ] 보호예수 해제
16. 美) 11월 시카고 연방 국가활동지수(현지시간)
17. 美) 11월 경기선행지수(현지시간)
18. 美) 12월 캔자스 연준 제조업지수(현지시간)
19. 美)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현지시간)
20. 영국) 3분기 국내총생산(GDP) 확정치(현지시간)
21. 영국) 3분기 경상수지(현지시간)
22. 日) 10월 경기동향지수(수정치)
본문 내용중 저작권등의 문제가 발생할 시에는 알려주시면 해당부분은 삭제 하도록 하겠습니다.
인포스탁 홈페이지(www.infostock.co.kr)의 자료를 참고 하였습니다.
728x90'주식,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12. 23.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0) 2022.12.23 2022. 12. 22.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1) 2022.12.22 2022. 12. 20.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0) 2022.12.20 2022. 12. 19.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0) 2022.12.19 2022. 12. 15.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1) 2022.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