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 12. 23.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주식, 경제 2022. 12. 23. 17:25728x90
상한가 및 급등종목
2022. 12. 23.
신스틸(162300)
4,665원(+29.94%) 스팩합병 첫날 상한가
엘컴텍(037950)
1,100원(+20.48%) 내년 금 가격 최대 4,000달러 전망 속 수혜 기대감 부각에 급등
미래나노텍(095500)
18,300원(+16.93%) 자회사 미래첨단소재, 3000억원 규모 수산화리튬 공급 계약 체결에 급등
삼아알미늄(006110)
40,000원(+14.29%) LG에너지솔루션과 알루미늄박 공급 관련 계약 준비 소식 등에 급등
금비(008870)
109,500원(+13.47%) 한동훈 법무부 장관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되며 급등
증시요약 & 마감시황.
12/23 KOSPI 2,313.69(-1.83%) 美 GDP 및 고용지표 호조 등에 Fed 긴축 우려 재부각(-), 개인 및 외국인 순매도(-)
지난밤 뉴욕증시가 Fed 긴축 우려 재부각 및 마이크론 실적 부진 등에 하락, 유럽 주요국 증시도 하락. 이날 코스피지수는 2,325.86(-30.87P, -1.31%)으로 약세 출발. 장 초반 2,333.08(-23.65P, -1.00%)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후 낙폭을 키웠고, 오전중 2,311.90(-44.83P, -1.90%)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 오후 들어 2,324선까지 낙폭을 줄이기도 했으나 지지부진한 흐름을 지속한 끝에 결국 2,313.69(-43.04P, -1.83%)에서 거래를 마감.
美 경제지표 호조에 따른 Fed 긴축 우려 재부각 등이 증시 전반에 악재로 작용. 외국인과 개인이 순매도하면서 지수 하락을 이끌었음. 외국인은 5거래일 연속 순매도, 개인은 사흘째 순매도. 반면, 기관은 사흘 연속 순매수를 기록.
일본, 중국, 홍콩, 대만 등 아시아 주요국 지수도 동반 하락.
수급별로는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 1,815억, 697억 순매도, 기관은 2,512억 순매수. 선물시장에서는 기관이 4,952계약 순매도,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3,045계약, 1,360계약 순매수.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하락. 셀트리온(-4.42%), SK이노베이션(-3.58%), NAVER(-3.52%), LG에너지솔루션(-3.39%), 카카오(-3.09%), LG화학(-2.56%), 삼성SDI(-2.35%), 삼성바이오로직스(-2.18%), KB금융(-1.90%), SK하이닉스(-1.77%), 삼성전자(-1.69%), 삼성물산(-1.67%) 등이 하락. 반면, LG전자(+0.66%) 등은 상승.
업종별로도 대부분 하락. 비금속광물(-3.92%), 의약품(-2.97%), 기계(-2.42%), 서비스(-2.35%), 종이/목재(-2.13%), 전기/전자(-2.07%), 제조(-2.00%), 운수창고(-1.95%), 섬유/의복(-1.88%), 화학(-1.78%), 의료정밀(-1.72%), 건설(-1.53%) 등이 하락. 반면, 통신(+0.17%), 전기가스(+0.10%)는 상승.
마감 지수 : KOSPI 2,313.69P(-43.04P/-1.83%)
12/23 KOSDAQ 691.25(-3.32%) 美 GDP 및 고용지표 호조 등에 Fed 긴축 우려 재부각(-), 외국인 순매도(-)
지난밤 발표된 美 GDP 및 고용지표 호조 등으로 Fed의 긴축 우려가 재부각된 점 등이 코스닥지수에 하락 요인으로 작용. 외국인이 1,000억원 가까이 순매도하면서 코스닥지수는 급락. 대주주 주식양도세 기준이 현행 10억원으로 유지되면서 양도세 회피 물량 부담 등도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956억 순매도, 개인과 기관은 각각 587억, 440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일제히 하락. 알테오젠(-7.23%), 펄어비스(-6.05%), HLB(-5.12%), 에코프로(-4.85%), 오스템임플란트(-4.77%), 리노공업(-4.33%), 엘앤에프(-4.24%), 천보(-4.19%), 에코프로비엠(-4.15%), 에스티팜(-4.07%), 카카오게임즈(-3.82%), 셀트리온헬스케어(-3.46%), 에스엠(-3.38%), 동진쎄미켐(-2.95%) 등이 큰 폭으로 하락.
업종별로도 전 업종이 하락. 디지털컨텐츠(-4.14%), 종이/목재(-4.01%), 화학(-3.85%), 반도체(-3.73%), 일반전기전자(-3.68%), 제약(-3.61%), 통신서비스(-3.53%), IT H/W(-3.49%), IT부품(-3.48%), IT S/W & SVC(-3.48%), 유통(-3.43%), 기타제조(-3.42%), 의료/정밀기기(-3.40%) 등이 큰 폭으로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691.25P(-23.77P/-3.32%)
특징 테마.
▷업황 회복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항공/저가 항공사(LCC) 테마 상승.
▷푸틴 러시아 대통령, 조기 종전 희망 발언 소식에 일부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상승.
▷이 외 일부 리츠(REITs), 일부 통신 테마 등이 상승.
▷반면, Fed 긴축 우려 재부각 속 美 주요 기술주 부진 등에 반도체 관련주, 인터넷 대표주, IT 대표주 등 테마 하락. 게임, 메타버스, NFT, 엔터테인먼트,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테마 등도 하락.
▷테슬라 주가 하락 속 전기차 수요 둔화 우려 등에 2차전지, 전기차 테마 하락.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 보유코인 가치 하락 소식 등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두나무 관련주 하락.
▷11월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 올들어 최대 낙폭 기록 소식 등에 스마트폰/ 아이폰/ 갤럭시 부품주/ 휴대폰부품 테마 하락.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6만8,168명, 위중증 엿새째 500명대 기록 속 여행, 면세점, 카지노, 영화, 백화점 등 리오프닝 테마 하락.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코로나19(진단키트) 등 코로나19 관련 테마 동반 하락. 제대혈, 줄기세포, 제약업체, 바이오시밀러 등 제약/바이오 테마도 하락.
▷北, 러시아에 미사일 판매 소식 속 국제사회 제재 가능성 부각 등에 남북경협, 남-북-러 가스관사업, 철도 등 대북 관련 테마 하락.
▷경기 둔화에 따른 자동차 수요 감소 우려 및 美 IRA 우려 지속 등에 자동차 대표주/ 자동차부품 테마 하락.
▷이 외 증시 급락 속 증권 테마가 하락했고, 웹툰, 모바일콘텐츠, 콜드체인(저온 유통), 4대강 복원, 마리화나(대마), 원숭이두창, 캐릭터상품, 야놀자 관련주, 원자력발전소 해체, MLCC, 치매, 사료, 3D 프린터, 전자결제(전자화폐), U-Healthcare(원격진료), NI(네트워크통합), 영상콘텐츠, 탈모 치료 관련주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대부분 테마가 하락.
국내 환율
주말의 이슈&테마
12월 24일 토요일
1. 펨트론 [ 5,910 하향 (-5.89%) ] 보호예수 해제
2. 보로노이 [ 29,950 하향 (-9.38%) ] 보호예수 해제
12월 25일 일요일
1. 성탄절
12월 26일 월요일
1. 미국, 프랑스, 독일, 영국, 홍콩 증시 휴장
2. 이베스트스팩5호 [ 2,030 상향 (+0.25%) ] 상장폐지
3. 이엠앤아이 [ 5,160 하향 (-20.98%) ] 추가상장(CB전환)
4. 테라사이언스 [ 1,655 하향 (-2.93%) ] 추가상장(CB전환)
5. 국보 [ 833 하향 (-1.65%) ] 추가상장(CB전환)
6. 오픈엣지테크놀로지 [ 8,380 하향 (-8.01%) ] 보호예수 해제
본문 내용중 저작권등의 문제가 발생할 시에는 알려주시면 해당부분은 삭제 하도록 하겠습니다.
인포스탁 홈페이지(www.infostock.co.kr)의 자료를 참고 하였습니다.
#상한가 #코스닥 #코스피 #이슈 #주식 #주식시황 #증권 #급등종목 #환율
728x90'주식,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12. 27.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0) 2022.12.27 2022. 12. 26.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0) 2022.12.26 2022. 12. 22.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1) 2022.12.22 2022. 12. 21.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0) 2022.12.21 2022. 12. 20.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0) 2022.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