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01. 06.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주식, 경제 2023. 1. 6. 17:41728x90
상한가 및 급등종목
2023. 1. 6.
카이노스메드(284620)
5,780원(+29.89%) 에이즈치료제 ‘KM-023’, 中 최초 단일복합정 에이즈치료제 품목허가 승인 소식에 상한가
코맥스(036690)
3,935원(+29.87%) 클라우드 컴퓨팅 테마 상승 및 삼성전자, '스마트싱스 스테이션' 공개 소식 속 협력사인 점이 부각되며 상한가
보락(002760)
2,030원(+24.54%) LG화학 ·美 아베오 합병 계획, 아베오 주주총회 승인 소식 속 관련주 부각되며 급등
솔트룩스(304100)
15,550원(+23.90%) 클라우드 컴퓨팅 및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급등
HLB 제약(047920)
12,300원(+20.59%) 치매 테마 상승 및 리보세라닙 간암 시장 겨냥 NDA 준비 순항 소식 속 급등
알피바이오(314140)
14,950원(+17.72%) 가파른 실적 성장 기대감 등에 급등
우진아이엔에스(010400)
7,920원(+17.68%) 전국 MICE 사상 최대 11조 투자 소식 속 마곡 MICE 복합단지 개발사업 공사 수주 사실 지속 부각에 급등
아이비김영(339950)
2,160원(+17.39%) 尹 대통령, 교육 다양성 강조 발언 등에 교육/온라인 교육 테마 상승 속 급등
피플바이오(304840)
17,000원(+15.65%) 알츠하이머 신약 레카네맙 美 FDA 가속 승인 여부 발표를 앞두고 치매 테마 상승 속 급등
나무기술(242040)
2,520원(+12.75%) 클라우드 컴퓨팅 테마 상승 속 美 CES서 클라우드 통합 관제 플랫폼 공개 소식에 급등
파인테크닉스(106240)
2,430원(+12.50%) 175.82억원 규모 자산재평가 차액 발생에 급등
HLB(028300)
31,100원(+11.47%) 리보세라닙 간암 시장 겨냥 NDA 준비 순항 소식 속 급등
알에스오토메이션(140670)
13,250원(+11.34%) 중국 자동화 솔루션 시장 본격 진출 소식 등에 급등
메디프론(065650)
1,250원(+10.62%) 알츠하이머 신약 레카네맙 美 FDA 가속 승인 여부 발표를 앞두고 치매 테마 상승 속 급등
코드네이처(078940)
1,240원(+10.22%) 디씨이와 경영권 변경 등 계약 체결에 급등
증시요약 & 마감시황.
1/6 KOSPI 2,289.97(+1.12%)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수(+), 삼성전자 실적 쇼크 속 반도체株 상승(+)
지난밤 뉴욕증시가 강한 고용 속 Fed 긴축 우려 및 Fed 위원 매파적 발언 지속 등에 하락, 유럽 주요국 증시는 혼조 마감. 이날 코스피지수는 2,253.40(-11.25P, -0.50%)으로 하락 출발. 장 초반 2,253.27(-11.38P, -0.50%)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한 후 보합권에서 혼조세를 보이다 상승으로 방향을 잡았음. 시간이 갈수록 상승폭을 키웠고, 장 후반 2,300.62(+35.97P, +1.59%)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장 막판 상승폭을 2,278선까지 줄이기도 했으나 결국 2,289.97(+25.32P, +1.12%)에서 거래를 마감.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순매수 등에 코스피지수는 사흘째 상승. 외국인은 5거래일 연속 순매수, 기관은 7거래일만에 순매수 전환. 지난밤 뉴욕증시가 하락했고, 개장전 삼성전자가 부진한 실적을 발표하면서 장 초반 증시는 하락 압력을 받기도 했음. 그러나 삼성전자 감산 가능성 부각 등에 삼성전자(+1.37%), SK하이닉스(+2.09%) 등 반도체 대표주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되며, 코스피지수는 상승 마감.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 중국, 대만 등이 상승.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3,160억, 2,442억 순매수, 개인은 5,666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834계약, 1,001계약 순매수, 개인은 1,001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상승. KB금융(+5.19%), 하나금융지주(+3.94%), 현대모비스(+3.38%), 신한지주(+2.92%), 포스코케미칼(+2.72%), POSCO홀딩스(+2.69%), LG에너지솔루션(+2.42%), LG화학(+2.24%), SK하이닉스(+2.09%), 삼성생명(+1.97%), 삼성전자(+1.37%) 등이 상승. 반면, 카카오(-0.87%), NAVER(-0.54%) 등은 하락.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보합.
업종별로도 대부분 상승. 건설(+4.14%), 비금속광물(+2.10%), 철강/금속(+1.90%), 보험(+1.80%), 기계(+1.68%), 전기/전자(+1.56%), 금융(+1.44%), 화학(+1.31%), 제조(+1.26%), 운수창고(+1.11%), 종이/목재(+0.95%), 운수장비(+0.91%), 통신(+0.85%) 등이 상승. 반면, 섬유/의복(-3.71%), 전기가스(-0.44%), 서비스(-0.10%)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289.97P(+25.32P/+1.12%)
1/6 KOSDAQ 688.94(+1.33%) 외국인 순매수(+), 개인·기관 순매도(-)
삼성전자 실적 쇼크에도 불구하고, 코스닥지수는 외국인 순매수 등에 상승. 외국인이 7거래일만에 순매수하면서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반면, 기관은 3거래일 연속 순매도.
수급별로는 외국인이 809억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각각 615억, 96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등락이 엇갈림. HLB(+11.47%), 동진쎄미켐(+3.34%), 리노공업(+3.15%), 에코프로비엠(+2.16%), 솔브레인(+1.24%), 알테오젠(+0.99%), 엘앤에프(+0.96%), 셀트리온제약(+0.78%), 셀트리온헬스케어(+0.53%), 휴젤(+0.30%) 등이 상승. 반면, 오스템임플란트(-4.02%), JYP Ent.(-2.32%), 카카오게임즈(-1.56%), 펄어비스(-1.39%), 에스엠(-0.67%), 에코프로(-0.63%), CJ ENM(-0.30%), 스튜디오드래곤(-0.25%) 등은 하락.
업종별로는 대부분 상승. 인터넷(+4.50%), 반도체(+2.60%), 종이/목재(+2.14%), 제약(+2.03%), IT H/W(+1.99%), 정보기기(+1.87%), 일반전기전자(+1.84%), 운송(+1.72%), 기타서비스(+1.67%), IT부품(+1.66%), 기계/장비(+1.66%), 화학(+1.61%), 운송장비/부품(+1.58%) 등이 상승. 반면, 오락문화(-0.81%), 디지털컨텐츠(-0.55%), 방송서비스(-0.29%), 통신방송서비스(-0.18%)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DAQ 688.94P(+9.02P/+1.33%)
특징 테마.
▷정부, 부동산 규제 완화에 따른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건설 대표주 테마 상승.
▷주주환원정책 기대감 지속 등에 은행 테마 상승. 인터넷은행, 카카오뱅크 관련주도 상승.
▷삼성전자 실적 쇼크에도 선반영 인식 속 메모리 감산 가능성 부각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장비, 반도체 재료/부품 등 반도체 테마 상승.
▷尹 대통령, 교육 다양성 강조 발언 등에 교육/온라인 교육 테마 상승.
▷공공 민간클라우드 개방 관련 개정안 행정 예고 소식 및 CES 2023서 클라우드 관련주 부각 등에 클라우드 컴퓨팅 테마 상승.
▷美 IRA 완화 및 정부 세액공제 수혜 기대감 등에 2차전지/전기차 테마 상승.
▷현대차/기아, 美 판매 호조 속 지난해 4분기 호실적 기대감 등에 자동차 대표주/ 자동차부품 테마 상승.
▷알츠하이머 신약 레카네맙 美 FDA 가속 승인 여부 발표를 앞두고 치매 테마 상승.
▷삼성전자, '스마트싱스 스테이션' 공개 모멘텀 지속 등에 사물인터넷, 스마트홈(홈네트워크) 테마 상승.
▷정부, 저출산정책 기대감 지속 속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등 테마 상승.
▷AI챗봇 챗GPT 개발사, 기업가치 36.8조에 지분매각 협상 소식 및 마이크로소프트, 자체 검색엔진에 챗GPT 적용 준비 소식 속 일부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국제유가 반등 속 정유, LPG 테마 상승.
▷전국 대부분 미세먼지 ‘나쁨 수준’, 전북지역 초미세먼지·황사 주의보 발령 속 황사/미세먼지, 공기청정기, 마스크 등 테마 상승.
▷이 외 증시 강세 속 증권 테마가 상승했고, 일자리(취업), CCTV & DVR, 해운, 음성인식, 핵융합에너지, 토스 관련주, LED장비, 전자파, PCB(FPCB 등), 전력저장장치(ESS), 밥솥, 철강 주요종목, 콜드체인(저온 유통), 스마트카, 마켓컬리 관련주, 보안주(물리), MLCC, 크래프톤 관련주, 제지 등의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하는 등 대부분 테마가 상승.
▷반면, 美 대형 기술주 약세 속 인터넷 테마 하락.
▷이 외 웹툰, 네옴시티 관련주, 폐기물처리, 캐릭터상품, 카지노, 인터넷 대표주, 영상콘텐츠, 엔터테인먼트, 타이어, 모바일게임, 미용기기 등 일부 테마가 하락.
국내 환율
주말의 이슈&테마
01월 07일 토요일
1. 홍콩·마카오발 입국자 PCR 검사 시작 예정
2. 엠에스오토텍 [ 4,255 상향 (+2.78%) ] 보호예수 해제
3. 스킨앤스킨 [ 225 변화없음 (0.00%) ] 보호예수 해제
4. 이노룰스 [ 9,310 상향 (+0.54%) ] 보호예수 해제
5. 모델솔루션 [ 17,900 상향 (+0.56%) ] 보호예수 해제
6. 中) 12월 외환보유액
7. FA컵) 토트넘 VS 포츠머스
01월 08일 일요일
1. 中 입국자 격리ㆍPCR검사 폐지 예정
2. 국제결제은행(BIS) 회의(현지시간)
3. 핑거스토리 [ 8,940 상향 (+1.02%) ] 보호예수 해제
01월 09일 월요일
1. 일본 증시 휴장
2. 美 국무차관 방한 예정
3. 바이오텍 쇼케이스 개최 예정(현지시간)
4. 하이트진로 [ 24,250 상향 (+0.62%) ] 제로 슈거 리뉴얼 제품 출시 예정
5. SF9, 컴백 예정
6. 스튜디오산타클로스 [ 1,355 하향 (-5.90%) ] 추가상장(무상증자)
7. 대한그린파워 [ 645 상향 (+1.26%) ] 추가상장(CB전환)
8. 다믈멀티미디어 [ 4,995 상향 (+6.50%) ] 추가상장(CB전환)
9. 한일단조 [ 2,635 상향 (+0.57%) ] 추가상장(CB전환)
10. EV수성 [ 1,580 하향 (-0.63%) ] 추가상장(CB전환)
11. 美) 11월 소비자신용지수(현지시간)
12. 유로존) 11월 실업률(현지시간)
13. 독일) 11월 산업생산(현지시간)
본문 내용중 저작권등의 문제가 발생할 시에는 알려주시면 해당부분은 삭제 하도록 하겠습니다.
인포스탁 홈페이지(www.infostock.co.kr)의 자료를 참고 하였습니다.
728x90'주식,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01. 10.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0) 2023.01.10 2023. 01. 09.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1) 2023.01.09 2023. 01. 05.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0) 2023.01.05 2023. 01. 04.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0) 2023.01.04 2023. 01. 03.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0) 2023.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