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 01. 09.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주식, 경제 2023. 1. 9. 17:52728x90
상한가 및 급등종목
2023. 1. 9.
메디프론(065650)
1,625원(+30.00%) 에자이-바이오젠 공동개발 알츠하이머 치료제 레카네맙, FDA 신속승인 소식에 치매 테마 상승 속 상한가
MDS테크(086960)
2,300원(+29.94%) 무상증자 권리락 효과 발생에 상한가
휴림로봇(090710)
2,275원(+28.53%) 삼성전자 , 연내 1호 케어 로봇 출시 소식 등에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급등
KBG(318000)
7,250원(+25.00%) LG엔솔, 전기차용 퓨어 실리콘 시제품 개발 소식 속 기능성 실리콘 소재 생산 사실 부각에 급등
펨트론(168360)
6,720원(+20.00%) 반도체 관련주 및 2차전지 테마 상승 속 급등
셀바스AI(108860)
8,130원(+16.14%) 삼성전자, 연내 1호 케어 로봇 출시 소식 등에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급등
영우디에스피(143540)
1,505원(+15.33%) 삼성전자, 연내 1호 케어 로봇 출시 소식 등에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급등
디모아(016670)
472원(+14.29%) 애플 VR 기기, 올봄 공개 기대감 등에 증강현실(AR) 테마 상승 속 급등
우림피티에스(101170)
6,850원(+14.17%) 미국과 유럽의 풍력, 태양광 시장 중장기 성장 전망 등에 풍력에너지 테마 상승 속 급등
에스디생명공학(217480)
1,320원(+13.79%) 화장품 및 황사/미세먼지 테마 상승 속 급등
셀루메드(049180)
5,450원(+13.07%) BYD와 이륜차 및 교체형 2차전지 배터리 MOU 체결에 급등
한국테크놀로지(053590)
393원(+12.93%) 자율주행차 및 황사/미세먼지 테마 상승 속 급등
다올인베스트먼트(298870)
3,765원(+12.89%) 우리금융 피인수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싸이맥스(160980)
13,100원(+11.97%) 삼성전자, 연내 1호 케어 로봇 출시 소식 속 과거 지능형 의료용 로봇 위탁생산 사실 부각에 급등
리파인(377450)
10,300원(+11.96%) 대통령실, 전세사기 근절책 검토 소식 속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서비스 등 영위 사실 부각에 급등
유진로봇(056080)
4,660원(+11.22%)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및 자율주행차 테마 상승 속 급등
인탑스(049070)
31,000원(+11.11%) 삼성전자, 연내 1호 케어 로봇 출시 소식 속 로봇 신사업 기대감 부각 등에 급등
금호타이어(073240)
3,020원(+10.42%) 타이어 브랜드 평판 23년 1월 빅데이터 분석 결과 1위 소식 속 급등
줌인터넷(239340)
3,645원(+10.29%) 삼성전자, 연내 1호 케어 로봇 출시 소식 등에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속 급등
증시요약 & 마감시황.
1/9 KOSPI 2,350.19(+2.63%) 美 임금 상승률 둔화(+), 中 코로나19 방역 규제 완화(+), 원/달러 환율 급락(+), 외국인/기관 순매수(+)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임금 상승률 둔화 등에 급등세를 나타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유로존 소비자 물가 둔화 속 일제히 상승. 이날 코스피지수 역시 2,315.87(+25.90P, +1.13%)로 갭상승 출발. 장초반 2,312.56(+22.59P, +0.99%)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지수는 점차 상승폭을 확대해 2,335선 부근에서 강세 흐름을 이어가는 모습. 오후 들어 상승폭을 더욱 키운 지수는 장후반 2,351.06(+61.09P, +2.67%)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뒤 2,350.19(+60.22P, +2.63%)로 장을 마감. 4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며 지난 12월22일 이후 처음으로 2,350선 위로 올라섬.
美 임금 상승률 둔화 및 中 코로나19 방역 완화 소식 등이 호재로 작용. 원/달러 환율이 25원 넘게 급락한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수하며 지수 급등을 이끌었음. 외국인은 6거래일 연속, 기관은 이틀째 순매수. 특히,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에너지솔루션, NAVER, 카카오 등 시총 상위 반도체, 2차전지, 인터넷 등 기술/성장주들의 강세가 두드러짐.
일본이 휴장한 가운데, 중국, 대만, 홍콩 등 아시아 주요국 증시도 동반 상승.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6,585억, 7,410억 순매수, 개인은 1조3,953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기관과 개인이 각각 1,920계약, 182계약 순매수, 외국인은 3,123계약 순매도.
코스피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종목이 상승. 카카오(+6.82%), NAVER(+6.22%), LG화학(+5.05%), LG전자(+4.85%), LG에너지솔루션(+4.50%), 기아(+4.23%), 삼성물산(+3.49%), SK하이닉스(+3.49%), 삼성전자(+2.88%), 현대차(+2.82%), 삼성SDI(+2.39%), 셀트리온(+1.53%), 현대모비스(+1.17%), 포스코케미칼(+1.06%), POSCO홀딩스(+1.05%) 등이 상승. 반면, 신한지주(-0.62%), 하나금융지주(-0.31%) 등 일부 은행주는 하락.
업종별로는 보험(-0.61%) 업종만 하락했을 뿐, 여타 업종은 일제히 상승. 화학(+3.93%), 서비스업(+3.81%), 섬유의복(+3.42%), 전기전자(+3.12%), 유통업(+2.99%), 기계(+2.92%), 운수장비(+2.87%), 제조업(+2.87%), 철강금속(+2.18%), 음식료업(+2.05%) 등의 강세가 두드러짐.
마감 지수 : KOSPI 2,350.19P(+60.22P/+2.63%)
1/9 KOSDAQ 701.21(+1.78%) 美 임금 상승률 둔화(+), 中 코로나19 방역 규제 완화(+), 원/달러 환율 급락(+), 외국인/기관 순매수(+)
美 고용지표가 강한 모습을 이어갔지만, 임금 상승률이 둔화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완화된 점이 증시에 호재로 작용. 아울러 中 코로나19 방역 규제 기대감 지속, 원/달러 환율 급락 등도 긍정적으로 작용.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수하며 지수 강세를 이끌었음. 외국인은 이틀째 순매수, 기관은 4거래일만에 순매수 전환.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50억, 52억 순매수, 개인은 77억 순매도.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대부분 종목이 상승. JYP Ent.(+3.96%), 에스엠(+3.25%), 에코프로비엠(+2.96%), 휴젤(+2.87%), 천보(+2.35%), 셀트리온헬스케어(+2.09%), 셀트리온제약(+2.00%), 카카오게임즈(+1.93%), 알테오젠(+1.83%), 엘앤에프(+1.79%), HLB(+1.77%), 솔브레인(+1.27%), 리노공업(+0.93%), 에코프로(+0.91%), 펄어비스(+0.71%) 등이 상승. 반면, 오스템임플란트(-3.72%) 등은 하락.
업종별로는 모든 업종이 상승. 기계/장비(+3.15%), 섬유/의류(+2.96%), 일반전기전자(+2.75%), 출판/매체복제(+2.42%), 소프트웨어(+2.26%), 종이/목재(+2.15%), 인터넷(+2.10%), 화학(+2.04%), IT S/W & SVC(+2.00%), 제조(+1.93%), 디지털컨텐츠(+1.88%), 금융(+1.86%), 음식료/담배(+1.84%), 정보기기(+1.84%), 통신서비스(+1.83%), IT 부품(+1.80%) 업종 등이 큰 폭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701.21P(+12.27P/+1.78%)
특징 테마.
▷美 주요 기술주 상승 등에 반도체 관련주, 인터넷/IT 대표주, 게임/모바일게임 등의 테마 상승.
▷삼성전자 , 연내 1호 케어 로봇 출시 소식 등에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 상승.
▷웹툰 IP 확장성 등으로 원작 콘텐츠로서 가치 증대 기대감 등에 웹툰 테마 상승.
▷올해 석유화학 수요 완만한 개 선 전망 등에 석유화학 테마 상승.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내년까지 완전 자율주행차 출시 기반 완비 언급 소식에 자율주행차 테마 상승.
▷中 입국자 격리제도 폐지 소식 등에 여행, 항공/저가 항공사, 화장품, 면세점, 카지노, 국내 상장 중국기업 테마 등 중국 소비 관련주 상승.
▷북미지역 전기차 시장 성장 기대감 속 국내 셀3사 점유율 상승 전망 등에 2차전지, 전기차 테마 상승.
▷한수원, 우간다 정부와 약 11조원 규모 원자력발전 사업 협력 논의 소식 속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주요 조선사, 올해 흑자전환 기대감에 조선/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글로벌 LNG 수입 경쟁 가열 속 가격 상승 전망 등에 LNG(액화천연가스) 테마 상승.
▷연일 미세먼지 '나쁨' 기록에 황사/미세먼지, 공기청정기 테마 상승.
▷미국과 유럽의 풍력, 태양광 시장 중장기 성장 전망 등에 태양광에너지/풍력에너지 테마 상승.
▷에자이-바이오젠 공동개발 알츠하이머 치료제 레카네맙, FDA 신속승인 소식에 치매 테마 상승.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당 대표 출마 선언에 정치/인맥(안철수) 테마 상승.
▷콘서트 관객수 증가 기대감 등에 엔터테인먼트 테마 상승.
▷한수원, 우간다 정부와 약 11조원 규모 원자력발전 사업 협력 논의 소식 속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미국, EU 등 올해부터 수소생산 보조금 지급 등으로 인한 수소 관련 기업 지속 성장 기대감 등에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테마 상승.
▷인천시 규모 3.7 지진 발생 소식에 재난/안전(지진 등) 테마 상승.
▷경기 바닥 기대감 및 철강재 가격 상승 등에 철강 주요종목, 철강 중소형 테마 상승.
▷현대차·기아 지난해 4분기 호실적 기대감 등에 자동차 대표주, 자동차 부품 테마 상승.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빅딜 기술수출 성과 기대감 등에 제약/바이오 관련주 상승.
▷애플 VR 기기, 올봄 공개 기대감 등에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테마 상승.
▷尹 대통령, 교육 다양성 강조 발언 모멘텀 지속 및 대통령실, 교육문화수석 신설 방안 검토 소식 속 교육/온라인 교육 테마 상승.
▷국내 OTT 매출액 견조한 성장세 전망 등에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비트코인 1만7,000달러 돌파 소식 속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中 VBP 시행에 따른 국내 임플란트 기업 중국 매출 확대 전망 등에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테마 상승.
▷이 외 증시 강세 속 증권 테마가 상승했고, 마리화나(대마), 스마트팩토리, 타이어, 공작기계, 화학섬유, 음성인식, 마이크로 LED, 셰일가스, 종합상사, 모바일콘텐츠, 그래핀, 제습기, 탄소나노튜브, 화폐/금융자동화기기(디지털화폐 등), LNG, 마이데이터 등 대부분의 테마가 상승.
▷반면, 손해보험, 캐릭터상품 등 일부 테마만이 하락.
국내 환율
내일의 이슈&테마
01월 10일 화요일
1. 제롬 파월 美 연준 의장 연설(현지시간)
2. 세계은행, '23년 세계경제전망 발표(현지시간)
3. 이재명 검찰 출석 예정
4. 산업부 2차관, 美 국무부 에너지 차관과 면담 예정
5. 11월 국제수지(잠정)
6. 티이엠씨 공모청약
7. 한주라이트메탈 공모청약
8. 에스엘바이오닉스 [ 306 변화없음 (0.00%) ] 추가상장(유상증자)
9. 미스터블루 [ 3,560 변화없음 (0.00%) ] 추가상장(무상증자)
10. 큐알티 [ 11,350 하향 (-1.30%) ] 추가상장(무상증자)
11. 손오공 [ 1,915 상향 (+0.26%) ] 추가상장(CB전환)
12. 비엔지티 [ 2,220 상향 (+3.26%) ] 추가상장(CB전환)
13. CJ [ 82,800 상향 (+2.48%) ] CGV 보호예수 해제
14. CBI [ 398 상향 (+2.31%) ] 보호예수 해제
15. 코프라 [ 5,160 상향 (+3.20%) ] 보호예수 해제
16. 액션스퀘어 [ 3,235 상향 (+0.78%) ] 보호예수 해제
17. 한국팩키지 [ 2,495 상향 (+1.42%) ] 보호예수 해제
18. 美) 11월 도매재고지수(현지시간)
19. 美) 12월 NFIB 소기업 낙관지수(현지시간)
20. 독일) 클라우디아 부크 분데스방크 부총재 연설(현지시간)
21. 日) 11월 가계지출
본문 내용중 저작권등의 문제가 발생할 시에는 알려주시면 해당부분은 삭제 하도록 하겠습니다.
인포스탁 홈페이지(www.infostock.co.kr)의 자료를 참고 하였습니다.
728x90'주식,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01. 11.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0) 2023.01.11 2023. 01. 10.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0) 2023.01.10 2023. 01. 06.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0) 2023.01.06 2023. 01. 05.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0) 2023.01.05 2023. 01. 04.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0) 2023.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