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23. 01. 11. 주식 상한가, 급등주 및 시황, 이슈, 테마, 주요 환율 정보, 코스닥, 코스피 지수
    주식, 경제 2023. 1. 11. 17:32
    728x90

    상한가 및 급등종목​​​​​​​​​​​​​​​​​​​​​​​​​​​​​​​​​​​

    2023. 1. 11.

    제이에스티나(026040)

    3,360원(+29.98%) 윤대통령 UAE 국빈 방문 소식 속 김기문 회장 경제사절단 포함 소식에 상한가

    코콤(015710)

    8,950원(+29.90%) 스마트그리드(지능형전력망) 및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속 상한가

    이삭엔지니어링(351330)

    11,150원(+29.80%)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테마 상승 속 삼성엔지니어링에서 수행하는 플랜트 HVAC Control 부문 독점계약 체결 부각에 상한가

    대명에너지(389260)

    23,150원(+28.61%) 태양광에너지 및 풍력에너지 테마 상승 속 GM·포드·구글, 가상발전소 사업 협업 소식에 VPP(가상발전소) 기업부설연구소를 설립한 점이 시장에서 부각되며 급등

    디어유(376300)

    34,900원(+19.52%) 엔씨소프트 팬덤 커뮤니티 플랫폼 유니버스 인수 결정 소식에 급등

    EG(037370)

    9,250원(+19.35%)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및 2차전지(LFP/리튬인산철) 테마 상승 속 급등

    누리플렉스(040160)

    5,910원(+17.03%) GM·포드·구글, 가상발전소 사업 협업 소식 등에 스마트그리드(지능형전력망) 테마 상승 속 급등

    제일파마홀딩스(002620)

    16,950원(+15.31%) 화이자, 상반기 중 중국서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 생산 및 유통 가능성 언급 소식에 코로나(화이자) 테마 상승 속 자회사 제일약품 상승에 급등

    현대에너지솔루션(322000)

    54,000원(+15.02%)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속 과도한 저평가 상태 분석 등에 급등

    동양철관(008970)

    1,080원(+14.16%) 일본 EPC업체와 배관용 강관 공급계약 체결에 급등

    광명전기(017040)

    2,475원(+13.01%) GM·포드·구글, 가상발전소 사업 협업 소식 등에 스마트그리드(지능형전력망) 테마 상승 속 급등

    비트나인(357880)

    8,340원(+12.70%) 마이크로소프트, '챗GPT' 개발사와 100억 달러 규모 투자 협상 진행 소식 속 과거 MS에 그래프 데이터베이스 기술 납품 이력 지속 부각에 급등

    브리지텍(064480)

    4,980원(+12.67%) 마이크로소프트, '챗GPT' 개발사와 100억 달러 규모 투자 협상 진행 모멘텀 지속에 AI 챗봇(챗GPT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영화테크(265560)

    10,500원(+11.35%) 2차전지/전기차 및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테마 상승 속 급등

    알파홀딩스(117670)

    1,250원(+10.62%) 2차전지 리드캡 전문기업 신화아이티 유증 참여 소식 속 급등

    SIMPAC(009160)

    5,380원(+10.13%) 윤대통령 UAE 국빈 방문 소식 속 최진식 회장 경제사절단 포함 소식에 급등

    티라유텍(322180)

    10,800원(+10.09%) 정부, 스마트팩토리 고도화 작업 추진 영향 지속 등에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테마 상승 속 급등

    증시요약 & 마감시황.

    1/11 KOSPI 2,359.53(+0.35%) 美 CPI 상승률 둔화 기대감(+), 외국인/기관 순매수(+), 경기 둔화 우려(-)

    밤사이 뉴욕증시가 파월 Fed 의장 연설 소화 속 상승했고, 유럽 주요국 증시는 Fed 매파 통화정책 우려 부각 등에 일제히 하락. 이날 코스피지수는 2,364.05(+12.74P, +0.54%)로 상승 출발. 장초반 2,369.66(+18.35P, +0.78%)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한 지수는 점차 상승폭을 축소하다 오전 중 하락 전환. 2,350.36(-0.95P, -0.04%)에서 장중 저점을 형성한 뒤 보합권에서 등락을 보이던 지수는 오후 들어 상승세로 방향을 잡는 모습. 점차 상 승폭을 키운 지수는 장 후반 2,368선 부근까지 올라서기도 했지만, 장 막판 일부 상승폭을 축소해 결국 2,359.53(+8.22P, +0.35%)으로 장을 마감.

    美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두고 상승률이 둔화될 것이란 기대감이 부각된 가운데, 미증시가 상승한 점이 국내 증시에도 긍정적으로 작용.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기관은 4거래일 연속 순매수했고, 외국인도 하루만에 재차 순매수 전환.

    다만, 밤사이 파월 Fed 의장이 스톡홀름에서 열린 심포지엄 연설에서 통화정책에 대한 별도의 언급은 하지 않았지만, 물가 안정 의지를 재차 강조한 가운데 Fed 인사들의 매파적 발언이 이어지며 상승폭은 제한된 모습.

    아시아 주요국 증시는 일본, 홍콩이 상승한 반면, 중국, 대만은 하락하는 등 등락이 엇갈림.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59억, 1,731억 순매수, 개인은 2,059억 순매도.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2,773계약, 785계약 순매수, 기관은 3,015계약 순매도.

    업종별로도 상승 업종이 우세. 의료정밀(+2.07%), 비금속광물(+1.98%), 화학(+1.73%) 업종이 큰 폭으로 상승했고, 기계(+0.94%), 운수장비(+0.91%), 종이목재(+0.68%), 제조업(+0.68%), 의약품(+0.59%), 서비스업(+0.54%), 철강금속(+0.50%), 전기전자(+0.41%) 업종 등이 상승. 반면, 건설업(-1.60%), 증권(-1.15%), 금융업(-0.96%), 섬유의복(-0.87%), 전기가스업(-0.71%), 보험(-0.48%), 통신업(-0.47%) 등은 하락.

    마감 지수 : KOSPI 2,359.53P(+8.22P/+0.35%)

    1/11 KOSDAQ 709.77(+1.97%) 美 CPI 상승률 둔화 기대감(+),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수(+)

    美 CPI 상승률 둔화 기대감이 커진 가운데,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음. 시총 상위 대부분 종목이 상승한 가운데, 특히 나스닥지수 강세 속 2차전지, 제약/바이오, 게임, 반도체 등 기술/성장주들의 강세가 두드러짐.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506억, 650억 순매수, 개인은 2,036억 순매도.

    업종별로도 모든 업종이 상승. 건설(+3.59%), 소프트웨어(+3.32%), 기타 제조(+2.97%), 일반전기전자(+2.88%), 통신장비(+2.74%), 종이/목재(+2.73%), 의료/정밀 기기(+2.63%), 컴퓨터서비스(+2.58%), 금융(+2.57%), 오락/문화(+2.32%), IT S/W 및 SVC(+2.25%), 제약(+2.22%), 화학(+2.17%), 제조(+2.12%) 업종 등이 강세.

    마감 지수 : KOSDAQ 709.77P(+13.72P/+1.97%)

    특징 테마.

    ▷中 VBP 입찰 결과 오스템임플란트 최다 수량 낙찰 소식 등에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테마 상승.

    ▷GM·포드·구글, 가상발전소 사업 협업 소식 등에 스마트그리드(지능형전력망) 테마 상승.

    ▷韓·UAE 방산 세일즈 외교 기대감 지속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삼성SDI , BMW와 헝가리 배터리 합작 공장 검토 소식 등에 2차전지/전기차 테마 상승.

    ▷지난해 국내 공항 이용객 수 큰 폭 회복 소식 속 항공/저가 항공사(LCC) 테마 상승.

    ▷태양광 견조한 수요 및 풍력 저점 확인 등에 태양광에너지/ 풍력에너지 테마 상승.

    ▷원자력발전 비중 확대 기대감 등에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화이자, 상반기 중 중국서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 생산 및 유통 가능성 언급 소식에 코로나19(화이자) 테마 상승.

    ▷주요 엔터사, 올해 신인 데뷔 모멘텀 기대감 등에 엔터테인먼트 테마 상승.

    ▷中 소비 회복에 따른 수혜 기대감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현대차그룹, 상용차 중심 수소차 사업 재편 기대감 등에 수소차(연료전지/부품/충전소 등) 테마 상승.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상승 및 국내 주요 반도체 업체 주가 반등 전망 등에 반도체 관련주 상승.

    ▷금일 수도권 미세먼지 '나쁨' 영향 등에 황사/미세먼지 테마 상승.

    ▷정부, 스마트팩토리 고도화 작업 추진 모멘텀 지속 등에 스마트팩토리(스마트공장) 테마 상승.

    ▷마이크로소프트, '챗GPT' 개발사와 100억 달러 규모 투자 협상 진행 모멘텀 지속 등에 AI 챗봇(챗GPT 등) 테마 상승.

    ▷이 외에 음성인식, CCTV & DVR, 스마트홈(홈네트워크), 강관업체, 드론, 사물인터넷, 웹툰, 희귀금속(희토류 등), U-Healthcare(원격진료), 온실가스(탄소배출권),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 영화, 자율주행차 등 대부분의 테마가 상승.

    ▷반면, 건설 대표주, 은행, 통신, 손해보험, 증권 등 일부 테마만이 하락.

    국내 환율

    내일의 이슈&테마

    01월 12일 목요일

    1. 美) 12월 소비자물가지수(현지시간)

    2.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 연설(현지시간)

    3. 옵션만기일

    4. 대만 TSMC 실적발표 예정

    5. 비상경제장관회의 개최 예정

    6. 롯데그룹, 사장단회의 개최 예정

    7. 카카오 [ 61,900 상향 (+1.98%) ] 네이버와 SM엔터 지분 인수 경쟁 관련 재공시 기한

    8. 12월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

    9. 12월 금융시장 동향

    10. 12월 ICT 수출입 동향

    11. 월간 재정동향

    12. 코프라 [ 5,300 상향 (+1.73%) ] 상호변경(BGF에코머티리얼즈)

    13. 하이트론 [ 2,470 변화없음 (0.00%) ] 변경상장(주식분할 및 감자)

    14. 메디톡스 [ 130,900 상향 (+3.72%) ] 추가상장(주식전환)

    15. 제이스코홀딩스 [ 2,800 하향 (-5.56%) ] 추가상장(BW행사)

    16. 키다리스튜디오 [ 9,880 상향 (+3.56%) ] 추가상장(CB전환/BW행사)

    17. 노블엠앤비 [ 2,045 상향 (+0.99%) ] 추가상장(CB전환)

    18. 웨이버스 추가상장(CB전환)

    19. 투비소프트 [ 918 상향 (+1.10%) ] 추가상장(CB전환)

    20. 아이톡시 [ 2,085 변화없음 (0.00%) ] 추가상장(CB전환)

    21. 탑코미디어 [ 4,695 상향 (+3.87%) ] 추가상장(CB전환)

    22. 애니플러스 [ 4,375 상향 (+6.19%) ] 추가상장(CB전환)

    23. 와이오엠 [ 925 상향 (+0.43%) ] 추가상장(유상증자)

    24. EV수성 [ 1,540 하향 (-2.22%) ] 추가상장(유상증자)

    25. 크리스탈신소재 [ 963 상향 (+1.05%) ] 보호예수 해제

    26. 美)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현지시간)

    27. 유로존) 유럽중앙은행(ECB) 경제보고서(현지시간)

    28. 독일) 11월 경상수지(현지시간)

    29. 中) 12월 생산자물가지수

    30. 中) 12월 소비자물가지수

    31. 中) 12월 차량 판매(연간)

    32. 日) 12월 은행대출

    본문 내용중 저작권등의 문제가 발생할 시에는 알려주시면 해당부분은 삭제 하도록 하겠습니다.

    인포스탁 홈페이지(www.infostock.co.kr)의 자료를 참고 하였습니다.

    #상한가 #코스닥 #코스피 #이슈 #주식 #주식시황 #증권 #급등종목​​ #환율

    728x90

    댓글

Designed by Tistory.